보이스피싱 수법 바꿨다…국가기관 사칭 → '대출권유' 위장

2016-04-19 13:53

[사진=경찰]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주로 국가 기관을 사칭하며 피해자를 양산해 온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의 수법이 대출 권유를 위장하는 형태로 바뀌고 있다.

경찰청은 올해 1∼3월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3680건을 분석한 결과, 이 중 대출사기형이 2932건으로 전체의 79.7%에 달했다고 19일 밝혔다. 반면 경찰·검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은 748건(20.3%)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발생한 6077건 중 기관사칭형이 2451건(40.3%), 대출사기형이 3626건(59.7%)이었던 것과 대조된다.

대출사기형은 미리 입수한 개인정보를 이용해 대출을 핑계로 수수료 등의 돈을 받아챙기는 형태다.

이들은 처음에는 대출을 받을 수 있을 것처럼 둘러대고서 신용등급이 낮아 대출이 어려우니 편법으로 등급을 상향하려면 수백만원의 신용관리금이 필요하다고 속여 돈을 입금받는 수법을 쓴다.

경찰은 실제로 이들에게서 대출을 받으려고 다른 캐피털에서 700만∼800만원을 빌려 신용관리금을입금한 피해 사례도 많다고 설명했다.

대출사기형은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입금을 종용하는 기관사칭형과 달리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을 골라 범행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속아 넘어가는 사람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사기범 중에는 실제 대부업 상담 일을 했던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금융용어를 사용하며 피해자를 현혹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권은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고자 100만원 이상 이체를 하면 30분간 인출이 지연되도록 한 '지연인출제'를 도입했지만, 이 역시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에는 속수무책으로 나타났다.

피해자가 2∼3일간 대출금이 입금되기를 기다린 이후에야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대출사기형 보이스피싱의 피해자를 분석한 결과 남성 피해자가 59.6%로 여성(40.4%)보다 많았다. 반대로 기관사칭형(남성 29.9%·여성 70.1%)은 여성 피해자가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31.4%)·30대(25.2%)·50대(24.8%) 등 주요 경제활동 연령층이 많아 20대(32.1%)와 30대(24.5%)가 다수인 기관사칭형과 대조적이었다.

경찰 관계자는 "금융회사에서 전화·문자로 대출을 권유하는 경우는 일단 보이스피싱으로 의심하고 해당 금융사 대표번호로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