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구조조정 대상 추가 산업 선정한다

2016-04-19 10:34

임종룡 금융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정부가 조선·해운·건설·철강·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 외에 추가로 구조조정이 필요한 산업을 선정키로 했다. 이 같은 가이드라인은 현재 채권은행들이 진행하고 있는 구조조정 대상 선별 기업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원회는 조만간 금융위원장이 주재하는 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협의체를 개최해 5개 업종의 구조조정 상황을 점검하고 관련 계획을 논의한다고 19일 밝혔다.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경제 관계부처 차관급이 참여하는 이 협의체는 기간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방향을 논의하는 일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정부는 지난해 10~11월에 걸쳐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협의체를 두 차례 개최해 5개 업종(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에 대한 구조조정 원칙과 공급과잉 해소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최근에는 해당부처 국장들이 참석하는 구조조정협의체 실무회의를 두 차례 개최해 5개 업종의 구조조정 진행상황을 점검했다. 또한 지난해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 저유가 영향 등을 감안해 추가로 공급과잉 해소방안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업종이 있는지 여부도 점검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까지 5개 업종을 제외하고 추가로 협의체에서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는 업종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나, 관련부처와 함께 글로벌 산업동향, 공급과잉 여부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편, 채권은행들은 4~6월 중 대기업을 상대로 평가를 진행해 오는 7월초 구조조정 대상을 선정하고, 7~10월에는 중소기업 평가를 거쳐 11월 구조조정 대상을 선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