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 출범…종교계·시민단체·지자체까지 참여

2016-04-20 07:09

19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 출범식이 열렸다. 참가 단체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종교계와 시민사회, 지방자치단체, 정부 관계자가 한데 모인 '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가 출범했다. 

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는 19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공식 출범식을 가졌다. 

사회연대회의는 정부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서울시 등 17개 시·도, 한국인구보건복지협회와 한자녀더갖기운동연합, 대한노인회 등의 시민단체, 인구와미래 정책연구원과 한국교원대학교 등 교육단체, 가톨릭·개신교·불교 등 7대 종단으로 구성됐다.

참여단체들은 저출산 극복을 위한 연대를 강화하는 한편 그간 개별적으로 진행해오던 관련 프로그램의 추진 방향을 공유해 사업 효과성을 높일 계획이다. 

김대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민간간사위원은 "저출산 극복은 제도적 노력과 함께 인식과 문화 개선이 수반돼야 한다"며 "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 구성을 계기로 저출산 극복을 위한 사회적 인식‧문화개선 운동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원회 간사 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이날 저출산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인식개선 활동 방향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결혼과 출산을 어렵게 하는 사회구조와 문화적 요인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결혼부터 임신, 출산, 양육 단계별로 사회문화를 바꾸고 젊은 세대의 부담을 줄일 캠페인을 전개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는 '인구의 날'(7월 11일)을 '인구 주간'으로 확대하고,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길 광고를 제작·활용할 계획이다. 오는 9월에는 저출산 극복을 주제로 종교문화축제도 열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저출산 극복 메시지를 개발해 브랜드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