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한국의 ICT ODA, 지속가능한개발목표(SDGs) 달성에 기여”

2016-03-11 17:45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개도국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ICT 공적개발원조(ODA) 모형이 개발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김도환 KISDI)은 11일 ‘ICT 개발협력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ODA 사업 추진 전략’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주요 선진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ICT ODA 현황과 개도국의 ICT 개발 수요를 분석, ICT ODA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ICT 세부 분야 중 우리나라가 강점을 가진 ‘ICT 인력양성’ 및 ‘브로드밴드 구축’을 우선 선정해 다른 공여국과 차별화된 한국형 ICT ODA 모형을 도출했다.

보고서는 많은 사업이 ICT 관련 다양한 초청연수 및 교육 지원 프로그램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과 개발협력 사업의 성격이 점차 ICT 자체로서가 아닌 타 분야 개발협력과 공조하는 범분야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또한 베트남, 방글라데시, 페루, 르완다 등 4개 개도국에 대한 개발협력 수요를 분석하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수출입은행(EDCF) 등 국내 ICT ODA 시행기관의 기존 수요분석 틀을 검토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ICT 인력양성 정책의 제약요인과 성공요인을 분석했다. ICT 인력양성 정책의 기본 틀(framework)을 △ICT 인력양성 정책의 수립과 추진 △교육 기관 △교육 프로그램 △교육 인력 등 4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4개의 발전단계(도입단계, 성장1단계, 성장2단계, 성숙단계)별로 구분한 로드맵을 구성했다.

브로드밴드 정책의 기본 틀 역시 △브로드밴드 관련 정책의 수립과 추진 △네트워크 정책 △서비스 정책 △수요 정책으로 구분하고, 4개의 발전단계(도입단계, 성장1단계, 성장2단계, 성숙단계)별로 로드맵을 구성했다.

KISDI는 "국제사회의 ICT 개발협력 현황 분석을 통해 도출해 낸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 ICT ODA 유관기관이 수원국의 수요에 맞춘 사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했다"며 "한국형 ICT ODA 모형 개발 및 확산을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간 디지털 격차 해소와 글로벌 공동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