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국토부, 지자체 최초 첨단기술 접목한 과학적 교량관리 추진
2016-03-07 08:02
경기도는 도민들의 통행 안전을 확보하고, 향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도로 유지관리 예산의 절감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을 합의, ‘경기도형 BMS’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도의 이번 BMS 도입은 전국 지자체 중에서는 최초다.
교량관리시스템(BMS : Bridge Management System)은 교량정보의 체계적 관리 및 분석을 통해 교량의 전 생애주기 동안의 유지관리 전략·계획(조치 시기, 방법, 우선순위 등)을 수립함은 물론, 관리주체의 정책 수립과 시행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특히, 교량의 유지와 관리에만 중점을 뒀던 기존 관리체계와 달리, 교량에 대한 정보관리와 분석, 그에 따른 조치가 순환적으로 이뤄짐으로써 정보의 축적과 예측이 가능해져 효율적이고 예방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국토교통부의 2015년도 교량현황조서에 따르면, 지자체 교량의 경우 국도 교량에 비해 노후 비율이 다소 높은 상황이어서, 그동안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도 교량과 같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었다.
실제로 30년 이상 노후화된 전체교량 2,786개 중 국도 교량은 479개로 3%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자체 교량이 2,307개로 국도 교량보다 13.4%가 높은 16.4%를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676개의 교량을 관리중이며, 이중 30년 이상 노후 교량은 도 관리 교량의 10%인 70개나 된다.
특히, 교량과 같은 기반시설물의 경우, 노후화에 대비하기 위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지만, 대부분 지자체에서는 기본적인 유지관리나 정보관리조차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는 이 같은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 국토교통부가 운영 중인 교량관리체계를 도가 관리중인 전 교량에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 6월부터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추진해왔다.
도의 BMS 도입은 국토교통부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각 임무를 분담해 설계, 구축, 운영 등 3단계로 나누어 진행 된다. 설계단계에서는 교량관리 현황분석과 BMS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계획 수립을, 구축단계에서는 시스템 개선과 초기 데이터 구축을, 운영단계에서는 BMS 유지보수·개선과 운영 지원 등이 이뤄지는 식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는 우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에 시스템 개선을 위탁하고, ▲지속적인 유지보수 지원, ▲BMS 확산 지원 등을 실시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교량관리 현황분석, ▲도 특성 반영한 교량관리체계 및 BMS 개선계획 수립 등을 담당한다.
경기도는 ▲현황분석 및 BMS 계획수립 협조, ▲교량 유지관리 데이터 구축 정보화사업 시행, ▲ 관리체계 정착·운영위한 업무 개선 등을 추진하게 된다. 또, BMS와 실시간 연계돼 교량의 세부정보에 대한 조회와 입력, 저장은 물론, 점검결과 보고서가 작성 가능한 스마트폰 기반 모마일 응용프로그램인 ‘현장조사 App’도 도입한다.
도는 이를 통해 ▲체계적·통합적·지속적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점검의 편의성 향상, ▲결과축적 분석활용, ▲위치기반 객체정보의 통합관리, ▲중장기 유지관리 예산 추정, ▲중장기 교량 성능변화 추정, ▲생애주기 유지관리 전략 및 계획 수립 등이 가능해 질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향후 도내 31개 시군이 관리하는 교량에도 BMS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도입이 전국 지자체의 과학적 예방 중심형 도로관리체계 구축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창원 경기도 건설안전과장은 “지금까지는 도로를 건설, 교통, 운송의 개념으로만 접근해 투자를 해왔으나, 앞으로는 이동성과 안전성을 모두 확보한 공공복지와 사회복지차원의 시설물로 생각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올해 첨단기술을 접목한 경기도형 BMS를 구축함으로써 예방중심형 도로관리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