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양회] "무인자동차·공유경제 등에 초점" 중국 IT기업인의 양회 안건

2016-03-03 15:48

(왼쪽부터) 리옌훙 바이두 회장, 마화텅 텐센트 회장, 레이쥔 샤오미 회장.[사진=바이두]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3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을 시작으로 개막한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에서는 중국 기업 총수들의 정책 제안도 쏟아진다. 매년 중국 IT 기업인들은 양회에서 자유분방하게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해 정부 정책 결정에 적극 참여하는 역할을 한다. 

'중국판 구글'인 바이두(百度) 설립자로 정협 위원직을 맡고 있는 리옌훙(李彥宏) 바이두 회장은 올해 양회에서 무인자동차 관련 법률법규를 조속히 완비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무인자동차 기술 연구개발·시험테스트·상용화가 제도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특히 무인자동차 관련 기술 표준 설립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지난 해 양회에서는 정부가 국가적으로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위한 두뇌 프로젝트를 준비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텐센트 창업자로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를 맡고 있는 마화텅(馬化騰) 회장이 올해 준비한 안건은 모두 다섯 가지다.  공유경제, 인터넷의료, 디지털컨텐츠산업 발전, 인터넷 생태안보, 인터넷 플러스와 관련된 것이 그것.

특히 산하에 중국 최대 차량공유업체 '디디콰이디'를 운영하고 있는 마화텅 회장은 공유경제가 중국 경제 성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신 성장동력이라며 중국 경제가 서비스 중심의 경제성장 모델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어 주요 엔진이라고 강조할 계획이다.

그는 지난해에는 모바일 인터넷이 산업에 천지개혁의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며 인터넷과 전통산업의 융합을 촉진하는 '인터넷 플러스' 발전 전략을 국가적으로 마련할 것을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 창업자인 레이쥔(雷軍) 회장은 올해 중국 창업환경 개선과 관련된 안건을 내놓았다. 그는 회사법을 개정해 '중국판 창조경제'라 불리는 '대중창업·만인혁신'을 위한 제도적 환경을 완비해 경제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3년 처음으로 정협 위원으로 선출된 레이 회장은 그동안 빅데이터 국가 건설, 인터넷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등과 관련된 안건을 발표했다. 

이밖에 알리바바에 이은 중국 2대 전자상거래 기업답게 징둥그룹의 류창둥(劉强東) 회장은 전자상거래 관리감독 과 관련된 입법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류 회장은 모조품·밀수품 등이 범람해 전자상거래 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전자상거래 산업의 장기적이고 건전한 발전을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