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기왕 시작된 서울역 고가 공원화, 잘 마무리를

2016-02-02 10:16

▲최수연 건설부동산부 기자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지난 1일 말많고 탈많던 서울역고가 도시재생의 윤곽이 드러났다. 1970년 8월15일 개통한 서울역고가는 안전등급 E등급 판정을 받으며 더이상 차량통행이 불가능한 상태가 됐고 지난해 12월 13일 45년만에 폐쇄됐다. 

'사람이 걷는 길'이 핵심인 만큼 이번 '서울역 7017 프로젝트'는 서울역고가에서 주변 지역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직통계단, 브릿지 등 17개 보행길을 만든다. 주변 상권의 상생을 위해서도 2018년까지 총 1469억원을 투입해 서울역과 일대 4개권역, 남대문시장 등을 아우르는 도시재생사업도 추진된다.  2017년 4월 준공을 목표로 한다.

문제는 서울역고가의 공원화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다는 것이다. "서울역 고가다리가 안전에 취약하면 차량통행이 가능하도록 보수·보강하면 되는 일 아닌가요" "고가다리가 곧 무너질 거라는 게 사실인가요" 등 여전히 서울역고가 도시재생에 미덥지 않은 시선이 남아 있었다.

쉽게 말하자면 서울역 고가도로는 수명을 다했다. 1998년 9월부터는 13톤이상의 화물트럭 운행이 제한됐다. 2006년과 2012년에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 판정을 받았고 2012년 서울역 고가 바닥판의 잔존 수명이 2~3년에 불과하다는 통보를 받았다. 그리고 2013년 12월 감사원 감사에서는 안전확보가 시급하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사업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서울역고가 도로를 차량통행이 가능하도록 보수·보강하기 위해서는 신설하는 방법 뿐이다. 신설하게 되면 800억 가량의 예산이 투입되고 공사기간은 5년가량 걸린다. 하지만 공원화 사업은 차량 통행이 없는 보행 교량으로 50% 정도인 380억원 가량이 투입되며 공사기간은 1년4~5개월이 소요된다. 

서울시는 계획 발표 이후 교통체증, 주변 상권 주민들과의 이해관계 상충 등 많은 진통을 겪고 드디어 서울역고가 공원화에 대한 서막을 열었다. 이왕이면 서울을 대표하는 관광명소로 자리잡을 수 있게끔 잘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