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일·중·러와 6자 회담수석 연쇄회동…북한 핵실험 제재 논의

2016-01-11 18:12
북한 핵실험 안보리·양자차원 대응조율…열쇄 쥔 중국과 협의 관건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외교부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이 오는 13일 서울에서 열린다고 11일 밝혔다.

우리 측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한미일 회동 결과를 토대로 14일 베이징을 방문,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만날 예정이다.

외교부는 러시아와도 6자회담 수석대표 일정을 조율 중이다. 북한의 핵실험 이후 1주일 만에 북한을 제외한 나머지 5개 당사국간의 외교적 해법찾기가 시작된 것이다.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아니지만 한미일, 한중, 한러간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이 잇따라 열리는 것은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해 어떤식으로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것으로 풀이된다.

한미일 수석대표 회동은 지난해 12월3일 미국 워싱턴D.C.에서의 회동 이후 약 1달 만이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외교부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이 오는 13일 서울에서 열린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간 본격 협의에서 우리 측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황 본부장과 성 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성공적 수소탄 실험'을 주장한 북한의 4차 핵실험 평가를 바탕으로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발신하는 한편, 유엔 안보리와 향후 양자 차원의 대북 추가제재를 위한 공조방안을 집중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실효적 대북제재에 키를 쥔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끌어내기 위한 논의도 활발히 벌어질 전망이다.

이와 별도로 한미일은 이번 주말께 도쿄에서 3국 차관 협의회도 개최해 3국간 안보협력 복원은 물론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대북 추가제재와 북핵 해법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한미일 협의에 대해 "강력하고 포괄적인 안보리 (제재) 결의를 포함한 다양한 다자·양자 차원의 대응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황 본부장은 한미일 협의를 토대로 이튿날 베이징을 방문, 중국 측 우다웨이 특별대표를 직접 만나 중국에 대한 설득에 나설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 차원의 대북 제재 논의에 중국의 역할이 최대 관심사로 부상하면서 한중간 협의에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외교부는 "미일중러 6자회담 수석대표와의 연쇄 협의를 통해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면서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