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연, "내년 전국 매매가격 3.5%, 전세가격 4.5% 상승"

2015-12-02 11:09
내년 주택시장은 거래·공급·가격 모든 부문에서 2015년 보다 둔화
LTV·DTI 규제완화 종료 시점인 2016년 3분기가 최대 변곡점
내년 주택시장 5대 영향 변수 '전세·공급·가계부채·대출규제·금리' 등
"정부, 2016년도 인내력 가지고 주택시장 안정 궤도 진입토록 일관적 정책 추진해야"

▲2016년 주택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전망. 자료=주산연 제공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주택산업연구원은 2일 발표한 '2016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내년 주택 매매가와 전셋값 상승률을 각각 3.5%, 4.5%로 전망했다. 

올해 상승률 추정치인 4%, 5%에 비해 다소 줄어든 상승폭이다. 연구원은 특히 주택금융관련정책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어 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완화 종료 시점인 2016년 3분기가 최대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10월까지 주택매매가는 전년 동기대비 수도권의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전국적인 상승세를 주도했다. 전세가는 수도권과 대구, 광주, 제주, 중심으로 지난해보다 높은 수준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전세가는 1억4968만원으로 2년 전과 비교해 2182만원이 오른 수준으로 17.1%가 상승했다. 총 주택거래량도 10월까지 144만건으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22.0%가 증가했다. 주택담보 대출은 지난 9월말 기준으로 540.5조원을 기록했다.

김덕례 연구위원은 "내년 정부는 '시장의 자율적 조정기능에 의한 주택시장 안정'인지, '규제정책에 의한 주택시장 관리'인지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골든타임의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선택 결과에 따라 주택시장 향방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산연은 2015년 공급된 물량은 금융위기 이후 누적적으로 쌓여온 대기 및 보유물량과 2015년 사업 계획물량 그리고 2016년 계획물량의 조기공급이 일시적으로 몰린 현상으로 2016년까지 지속되지 않는다고 내다봤다.

내년 주택시장의 5대 영향 변수로는 △전세 △공급 △가계부채 △대출규제 △금리 등을 꼽았다.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로는 가계부채, 대출 규제, 금리 등을 포괄하는 '주택금융정책'으로 대외변수보다는 대내변수에 의한 시장변동이 커질 수 있다고 김 위원은 설명했다.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2016년 국내 기준금리 영향은 크지 않으며, 오히려 대출기관의 가산금리 인상에 의한 영향이 더 클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그는 가계부채의 건전성 관리는 주택소비심리 위축 없이 금리인상 쇼크에 대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금융정책과 주택정책의 통합적 조율을 거쳐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2016년도에는 인내력을 가지고 주택시장이 안정 궤도에 진입할 수 있도록 일관적 정책을 추진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