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천년 역사 '부산 동래읍성' 역사적 상징장소로 재생해야
2015-11-23 14:35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1000년 역사의 부산 동래읍성지역을 역사적 상징장소로 만들자는 의견이 제시돼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재생과 관련해 관심을 끌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BDI·원장 강성철)은 정책포커스 ‘동래읍성지역의 재생전략 : 1000년 박물관의 성(城)’ 보고서에서 이같이 제안하고 관련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연구원은 “오랜 역사의 동래읍성지역은 부산의 뿌리와 같지만 임시방편적 부분처방의 한계로 미래상과 발전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그 위상에 맞는 역사적 상징장소로의 대대적인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고려 1021년 수축된 동래읍성지역은 부산진성과 함께 임진왜란 최초의 격전지이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3·1독립운동 때 동래고보 학생들과 지역주민들이 독립만세 궐기를 한 이후 항일학생운동의 거점지역으로 상징화됐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박상필 연구위원은 “임진왜란 당시 동래부사 송상현과 부민(府民)의 항전 그리고 일제강점기 주민들의 항일운동에 얽힌 호국충절의 기록과 이야기가 전승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동래읍성지역은 국가유산이자 부산 정체성의 한 근원지”라며 “그 역사문화자원의 잠재력을 재인식해 지역주민의 삶과 연계한 통합적인 지역재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무형의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한 동래읍성지역 전체를 하나의 박물관으로 보는 ‘1000년 박물관의 성(城)’이라는 재생 개념을 제안했다. 동래읍성지역을 언제, 어느 곳에서나 역사의 혼(魂)을 느끼는 장소로 구현한다는 것이다.
박상필 연구위원은 이를 위한 정책과제로 박물관의 성(城) 토대 구축을 통한 경관정체성 기반 강화, 박물관의 성(城) 체험프로그램 설계를 통한 읍성 이미지 구조화, 박물관의 성(城) 협력체계 형성을 통한 민·관 거버넌스 구축, ‘부산역사기획단’(가칭) 구축을 통한 지속적 실현 기반 마련을 제시했다. 지역주민 주도로 동래읍성의 경관을 회복 또는 복원해 이미지를 재창조하고 체험프로그램을 개발해 역사문화자원의 효용성을 극대화한다는 복안이다.
박 연구위원은 “임진왜란의 역사적 상징성 등으로 동래읍성지역의 역사문화적 위상은 동래와 부산을 넘어 국가 및 동아시아 차원에서 전개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단편적이고 일시적인 재생사업을 피하기 위해 ‘부산역사기획단’(가칭)을 조직해 추진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동래읍성지역과 원도심, 대청로 피란수도지역, 근대 도심으로서의 서면지역 등 부산의 역사문화적 상징지역을 전체적으로 조망하면서 엮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지역의 역사적 장소에 추진하는 각종 지역재생사업과 도시정비사업 등도 이를 통해 통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