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온천천 유역 하수관로 조기완공 위해 민간투자사업 추진
2015-11-19 14:50
2016년도 수민분구 착공, 2017년도 사직·장전분구 착공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 온천천 유역 하수관로 조기완공을 위한 민간투자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게 됐다.
부산시는 온천천 유역 분류식 하수관로 사업과 관련, 민자 사업시행자 및 사업 지정을 위한 민간투자사업심의가 개최·의결되어 민간투자사업(BTL) 추진으로 쾌적한 생활환경 개선과 온천천 수질개선의 조기 시행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고 19일 밝혔다.
그동안 온천천은 시민과 함께하는 하천으로 거듭나 평소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우천 시 주변지역의 오수가 온천천으로 흘러들어 하천을 오염시킴으로써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 하천환경개선과 수질개선에 대한 주민들의 욕구가 고조돼왔다.

온천천 수계 분류식 하수관로 사업 현황도. [사진제공=부산시]
이에 따라 부산시는 온천천의 근본적인 수질개선을 위해 수영하수처리장으로의 오수 이송을 위한 차집관로를 1990년부터 설치하였고, 온천천 주변지역의 분류식화사업을 조기에 완료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 왔으나 국비확보 및 시 재정의 어려움으로 조기완공이 불투명했다.
또한, 대상지역의 분류식 하수관로사업이 완료되면 가정 내 기존 정화조 폐쇄가 가능, 시민들이 정화조 관리의 부담에서 벗어나는 편익 효과도 기대된다.
송방환 부산시 생활하수과장은 “부산시 전역에 대한 분류식 하수관로사업은 2030년도 완료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해 53.6%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으나 이번 민자사업이 완료되는 2020년에는 보급률이 74.2%로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