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수백억원대 시 금고 협력사업비 불투명 집행
2015-11-02 13:35
2016년까지 333억원, 현재까지 3년 동안 사용 내역도 몰라
부산시가 시 금고 지정에 따른 협력사업비를 해당 은행으로부터 받고 있지만 사용처 내역조차 파악할 수가 없어 논란이 일고 있다.[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시가 수백억원대 시 금고 협력사업비를 사업비 출연 목적과 관계없이 집행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공익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협력사업비 사용 내역조차 알 수가 없어 투명성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부산시, 부산은행 등에 따르면 부산시는 지난 2013년 시 금고 1금고로 부산은행, 2금고로 국민은행을 지정하고, 2016년까지 4년간 총 333억원을 출연금으로 받아 협력사업비로 사용하기로 했다.
그러나, 부산시는 제 1금고인 부산은행에서 4년간 233억원, 제2금고인 국민은행으로부터 100억원 등 총 333억원을 협력사업비로 받기로 하고 시 금고를 지정했지만, 이 협력사업비의 사용처나 집행내역을 공개하지 않아 의혹을 사고 있다.
부산시 금고 협력사업비 운영 현황.[사진=부산시 홈페이지 캡처]
부산시는 2013년 시 금고를 지정하고, 매년 7월 중에 협력사업비를 수령한다. 부산시 홈페이지에 실린 공개 내역을 살펴보면, 시 금고 지정 년도인 2013년에는 예산편성액을 기록해 놓지 않았고, 2014년 행정자치부에서 시 금고를 예산에 편성하라는 공지를 받고 그 해부터 79억원을 부산시 예산에 책정했다.
2013년도에는 부산시가 받은 협력사업비 금액을 알 수가 없다. 2014년도에는 부산은행 55억원, 국민은행 24억원, 총 79억원을 세입 처리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올해부터는 협력사업비 사용 내역을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2013년부터 2014년까지 2년간 사용한 협력사업비 사용내역은 정체도 모른다. 시는 예산에 일괄 편성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어디로 나가는지 항목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시 세정담당 관계자는 “시 금고를 계약할 당시 협력사업비를 일괄적으로 예산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사용처는 파악하기는 어렵다. 협력사업비를 예산에 편성하지 않은 타 시·도도 대부분 그렇다. 오히려, 행자부는 우리 시가 예산편성을 일찍 시행한 것을 두고 시 금고 협력사업비 모범사례라고까지 말할 정도로 칭찬을 받고 있다”고 반박했다.
부산시는 올해부터 협력사업비 사용 내역을 공개한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얼마를 책정해 사용했는지는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2013년도에는 얼마를 수령했으며, 올해는 또 얼마인지, 그리고 사용처가 어딘지 오리무중이다.
이에 대해 부산은행 관계자는 “시 금고 지정 당시 협력사업비에 대한 총금액을 제시하고, 시에서 제안을 받아들이면 시 금고로 지정된다. 그러나, 은행으로서는 사용처에 대해서 물어볼 수가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시의 이 같은 행태는 금고 협력사업비에 대한 예산 집행을 교육청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있는 부산시교육청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부산시의회 전진영 시의원(새정치민주연합, 비례대표)은 “이게 사실이라면 중대한 문제”라며 “관련 자료를 부산시에 요청해 받은 후 면밀히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행자부는 올해부터 협력사업비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부산시가 현재까지 수백억원의 협력사업비를 받고 예산을 사용했지만 내역조차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올해 협력사업비를 투명성 있게 공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