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개발한 공간정보기술, UN에 최초 적용된다
2015-10-14 09:49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소속 ‘공간정보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단’은 지난 6월 유엔 공간정보국(UN Geographic Information Section)과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공간정보기술 개발 합의 이후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유엔 공간정보국은 시리아 내전 등 평화유지군 관리와 아이티 대지진과 같은 재난구호 등의 유엔 고유임무에 필요한 공간정보를 구축·공급·관리하는 부서다. 세계 100여개 국가 및 NGO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 공간정보협의체인 ‘GGIM 포럼’을 운영하는 등 유엔의 공간정보를 총괄하는 조직이다.
이에 따라 연구단은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유엔 현장요원들이 전송하는 실시간 공간정보를 취득해 이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지도 등)로 개발 및 공급하거나, 모바일 웹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검증하는 등의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 20년간 공간정보 분야 관련 연구·개발(R&D)를 추진해왔지만, 높은 연구 성과물에 반해 해외시장에서는 미국과 유럽 등 경쟁국에 밀려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강혜경 국토연구원 연구단장은 “정부가 오랜기간 공간정보 R&D에 투자해 왔으나, 해외에 수요처를 발굴하고 연구 성과의 실용성을 검증하는 일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유엔과의 이번 협력을 통해 국내 공간정보기술이 글로벌 인지도를 높여 개발도상국들로 확대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