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폭스바겐 여파 '클린디젤' 휘청… 친환경차 제외법안 발의

2015-10-08 14:14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 폭스바겐 배출가스 저감장치조작으로 '클린디젤'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고 있는 가운데 클린 디젤차를 환경친화적 자동차에서 제외시키는 법안이 발의됐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찬열 의원(수원 장안구)은 7일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상 환경친화적 자동차에 포함돼 있는 클린디젤자동차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발의했다.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디젤차량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1990년 13.8%에 불과하던 유럽내 디젤차량의 비중은 2014년 53.1%까지 급증했으며, 우리나라 역시 올 상반기까지 신규 등록된 자동차의 51.9%가 디젤차량일 정도로 디젤차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의원은 "오염저감 기술의 개발로 클린디젤이라는 명칭까지 부여되면서 디젤차량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대됐지만, 도심지역의 질소산화물 농도는 개선되지 않고 있어 디젤자동차 확산이 환경적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 의원은 ​특히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에 클린디젤자동차가 환경친화적 자동차에 포함될 당시에도 “클린디젤자동차의 경우 기술개발이 계속된다고 하더라도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을 여타 환경친화적 자동차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전문위원 검토보고서(2009년 4월)의 지적이 있었다며 실제로 실주행시에는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휘발유보다 낮은 세금, 환경개선 부담금 면제 등 클린디젤차에 대한 정부의 지원책에도 불구하고 클린디젤 차가 더 이상 환경친화적 자동차가 아님이 밝혀졌다”며 “클린디젤의 허구성이 전 세계적으로 명백히 드러난 이 시점에서 정부는 클린디젤차에 대한 정책실패를 인정하고, 친환경차량의 범주에서 클린디젤을 조속히 제외해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