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정보통신 융합 기술·서비스에 첫 임시허가 부여

2015-10-07 12:00

블루투스 전자저울 (사진=미래부)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기술과 서비스의 신속한 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신속처리 및 임시허가’ 제도의 첫 번째 사례로 '블루투스 통신을 활용한 이동식 전자저울 기술 및 농업 모바일 서비스'에 임시허가를 부여한다고 7일 밝혔다.

신속처리 및 임시허가는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새로운 융합 기술·서비스 등에 대한 적합한 기준·규격·요건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를 미래부가 관계부처를 통해 확인하고, 규제완화를 위해 임시로 허가·승인·등록·인가 등을 할 수 있는 제도다.

임시허가 대상이 된 기술 및 서비스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인 그린스케일에서 개발한 계량기(저울)와 블루투스 통신기술 간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전자저울의 활용 기술과 서비스로서, 전자저울 측정값을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모바일 기반으로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다.

그 간에는 고도의 정확성을 요구하는 산업용 및 상거래용 분야 법정 계량기와 정보통신기술 간 융합과 관련된 국내 법제도가 미비했으며, 해외에서도 유사 도입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중소벤처기업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사업화하는데 어려움이 컸다.

현행 법정 계량기에 대한 형식승인에서는 계량의 정확성과 내구성을 중심으로 시험·검증을 하고 있으나, 통신 및 데이터 무결성 등은 검사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래부는 국가기술표준원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신청한 새로운 기술·서비스에 대해 기술적 검토기준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 △저울의 정확성 및 내구성 △전자파 안정성 △데이터 무결성 등을 전문기관을 통해 시험·검증하고 기술·법률·정책 등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외부평가위원회를 통해 임시허가 여부를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됐다.

이번 임시허가를 통해 생산, 입출, 재고관리 등 농업 현장에서 전자저울과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관리시스템을 제공해 이용자 편의성과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부는 향후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한 홍보와 함께 찾아가는 상담 서비스를 실시하는 등 국민들과 기업들에 대한 관련 제도의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속처리·임시허가 제도를 적극 활성화할 예정이다.

신속처리·임시허가 제도의 기술검증 수행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는 상세한 내용 문의 및 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며, 관심 있는 국내 기업 및 국민은 누구나 이용가능하다. (TTA 기획총괄팀 연락처 : 031-724-4757)

이와 관련해 강성주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신속처리·임시허가 제도를 통해 ICT 융합 신기술 및 서비스의 빠른 시장진입이 가능토록 지원함으로써, 국내에 새로운 융합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역동적인 창조경제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농업 모바일 서비스 (사진=미래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