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12월 전망 우세…과거보다 충격 크다.

2015-09-14 08:34
중국 경제 둔화, 신흥국 불안과 맞물려 '복합 충격' 발전 우려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최근 미국의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찬반이 팽팽한 가운데 금리 인상으로 한국과 신흥국 등에 미칠 충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1990년 이후 미국의 3차례에 걸친 금리 인상기에서의 시장 영향과 비교할 때 이번 금리 인상은 과거 사례보다 그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는 상황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오는 16~17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제로(0) 수준인 연방기금 금리를 인상할지 결정한다.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이달 인상 가능성을 유력하게 보거나 반드시 인상해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했다.

하지만 중국 등 세계 경제의 성장 둔화 가능성과 미국의 경제지표들이 엇갈린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탓에 지금은 9월 인상 전망이 다소 수그러져 그야말로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형국이다.

현재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 즉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섣불리 올리기도 어렵지만, 그대로 내버려둘 수도 없는 '진퇴양난' 상태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현재의 0∼0.25%인 '초저금리' 상태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경제 불확실성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금리 인상의 근거가 될 미국의 고용지표와 물가지표가 엇갈리면서 9월 인상은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미국에서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해 안에 올릴 경우 그 시점으로 9월과 10월, 12월을 거론하고 있다.

블룸버그뉴스가 지난 9일 금융시장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출한 시점별 금리 인상 확률은 오는 12월이 59.8%로 가장 높았고 오는 10월과 이달은 각각 42.6%와 30%였다.

연내에 기준 금리 인상이 단행된다면 미국은 2008년 12월 지금의 초저금리(0~0.25%)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 7년 만에 처음으로 긴축으로 전환하게 된다.

금리가 인상되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미 달러화를 매개로 움직이는 돈의 흐름에 변화를 주게 되어 각국의 환율·금리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또 환율과 금리에 따라 변동성이 커지는 주식·채권 등 유가증권 시장은 충격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고금리와 안전자산을 좇아 움직이는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이탈로 국내 증시와 외환시장이 충격을 받아 경제 전반이 흔들릴 우려도 있다.

문제는 이번 금리 인상이 과거보다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는 데 있다.

과거 미국은 1994년과 1999년, 2004년 3차례의 금리 인상기를 가졌다.

금리인상 당시의 대내외 요인에 따라 주가 반응이 다른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대체로 미국은 10% 내외, 신흥국은 8~14%, 한국은 10~20%의 하락을 보였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 둔화 등에서 비롯된 신흥국 불안과 미 금리인상이 겹치면서 글로벌 시장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복합 충격'으로 발전할 우려가 크다는 의미다.

국제금융센터가 최근 발표한 '과거 미국 금리인상기 주요국 주가 반응 사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장기 강세장에 따른 주가부담 △7년에 걸친 전례 없는 통화정책 완화의 정상화 △신흥국 성장둔화 등을 이유로 과거 금리 인상기와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이번 금리인상의 시장 영향은 과거보다 클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높아 그 충격이 더 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미국의 금리인상에) 중국 금융시장이 크게 반응한다면 우리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며 "당장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충격보다는 중국을 한번 거쳐서 오는 위기에 흔들릴 가능성을 충분히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