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래호 구조 작업…왜 골든타임 놓쳤나?

2015-09-07 11:26

[사진=YTN방송화면캡쳐]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탑승객 21명 가운데 3명만 생존한 돌고래호의 구조 작업이 늦춰진 이유가 뒤늦은 신고 접수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7일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발표에 따르면 신고를 받은 추자 안전센터 직원이 신고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돌고래호에 전화를 하고 해상교통관제센터(VTS)로 돌고래호의 위치를 파악하느라 최초보고가 23분이나 늦춰졌다.
 
또한 6일 제주해경안전본부 언론 브리핑에서 국민안전처 박인용 장관은 "전날 오후 8시40분 추자 안전센터에 최초 (사고)신고가 되고 해상교통관제센터(VTS) 등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느라 해경 상황실에 9시3분께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돌고래호와 함께 출항한 돌고래 2호 선장이 5일 오후 8시 40분에 신고 한 후 오후 9시가 지나서야 제주해경안전본부 상황실로 신고가 전달된 것이다. 

접수된 내용이 불확실하더라도 추자안전센터에서 신고를 상황실로 전달하고 확인작업과 출동준비를 동시에 진행했더라면 초기 대응이 더 신속하게 이뤄질 여지가 있었다.  

한편, 박인용 장관은 취임 후 신속한 초기대응을 강조했으나 이번 돌고래호 사건은 지난 세월호와 마찬가지로 초기 대응에 실패해 안전처가 구조의 골든타임을 다시 한 번 놓쳤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