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사태, 산업은행 직무유기 책임 커"

2015-09-07 09:56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대우조선해양 부실 사태와 관련해 관리·감독 주체인 산업은행이 직·간접적인 경영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사태를 방조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7일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운룡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대우조선해양 관리 실태 자료와 36개 국내 증권사 조사분석보고서를 검토한 결과, 증권사들은 2004년부터 목표주가 하향 조정을 통해 끊임없이 대우조선해양 경영성과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보내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산업은행 출신 대우조선해양 CFO와 이사회 비상무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참석하는 산업은행 책임자(기업금융4실장)는 가장 기본적인 시장의 흐름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이 사태를 방조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04년 1분기 국내증권사의 대우조선해양 평균 목표주가는 4만2112원으로 대규모 부실 발표 전인 2015년 2분기에 이미 목표주가를 절반 이상 하락시킨, 2만350원으로 조정했다. 1년 6개월 동안 많게는 26%, 적게는 5%씩 목표주가 하향을 통해 경영성과에 대한 문제점을 꾸준히 지적해 왔던 것이다.

산업은행의 간접적 경영관리 부실도 드러났다. 이 의원은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 경영진 견제 등 최소한의 경영 통제 목적으로 산업은행 출신 임원을 CFO로 선임하고 있으나, 경영진과 화학적 결합을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결과적으로 대규모 회계 부실 사실을 파악하지 못 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산업은행의 책임자는 지난 2012년부터 2015년 7월까지 개최된 이사회 회의 참석률이 65%, 감사위원회 참석률은 63%에 불과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사의 가장 중요한 지표인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의 승인을 다뤘던 2014년, 2015년 이사회 회의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이 의원은 "대우조선해양 부실 사태 발생 원인은 산업은행이 시장의 기류 변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안이하게 대응한 측면이 크다"며 "관련자 문책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유사한 리스크 관리 실패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영관리 대책을 신속하게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