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30대그룹, ‘방패막이’ 사외이사 40% 육박…美대기업은 9%

2015-08-26 17:05
영풍·두산·CJ 등, 4대 권력기관 출신 관료 대거 중용

[그래픽=임이슬 기자]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국내 30대 그룹의 사외이사 중 약 40%가 관료 출신인 것으로 26일 드러났다. 반면 미국 상위 100위 기업 사외이사의 관료 출신 비중은 9.9%에 그쳤다.

이에 업무에 맞는 재계 출신의 전문가를 선호하는 미국 기업과 달리 국내 주요 대기업은 법조, 국세청 출신 등의 ‘바람막이용’ 사외이사를 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가 국내 30대 그룹 187개 상장사의 사외이사 609명과 포춘이 선정한 미국 상위 100대 기업의 사외이사 815명의 출신 이력을 전수 조사한 결과, 국내 대기업 사외이사의 관료출신 비중이 38.6%(235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계 출신이 30.5%(186명)로 그 뒤를 이었으며, 재계 출신은 15.9%(97명)에 불과했다. 그 외 언론 출신이 4.1%(25명), 공공기관 출신이 3.9%(24명), 법조 출신이 2.9%(17명) 순이었다.

반면 미국의 상위 100대 기업 사외이사는 재계 출신이 74%(603명)로 주를 이뤘고, 관료출신의 비중은 9.9%(81명)에 그쳐 국내 기업과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그 뒤로 학계 7%(57명), 세무회계 3.8%(31명), 언론 1.8%(15명), 법조 1.5%(12명) 등의 순이었다.

가장 많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를 선임한 기업은 영풍 그룹이다. 영풍 그룹은 총 13명의 사외이사 중 9명(69.2%)이 관료출신으로 조사됐다. 그 뒤로 두산(64.0%), CJ(62.1%), OCI(61.5%), 동국제강(60.0%) 순으로 관료 출신 이사를 다수 선임했다.

신세계(52.6%), 롯데(51.7%), 효성(50.0%)도 사외이사의 절반 이상이 관료출신인 것으로 드러났으며, 현대차(48.9%), 대림(42.9%), 현대백화점(42.1%), SK,·현대중공업(40.0%)도 40% 이상의 높은 관료 인사 비중을 보였다.

국내 최대 그룹인 삼성 역시 관료 출신 사외이사의 비중이 재계 출신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삼성의 사외이사 62명 중 20명(32.3%)가 관료 출신인 반면, 재계 출신은 4명(6.5%)에 그쳤다.

사외이사로 선임된 관료 출신 인사들은 절반 이상이 법조, 국세청, 공정위, 감사원등 소위 4대 권력기관 인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전체 235명 중 4대 권력 기관 출신이 132명으로 56.2%에 달했다. 법원·검찰이 69명(29.4%), 세무 41명(17.4%), 공정위 17명(7.2%), 감사원 5명(2.1%) 순이었다. 4대 권력 기관에 이어 청와대 58명(24.7%), 기획재정부 17명(7.2%), 금감원 4명(1.7%)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