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3사 인원 구조조정… 노사관계 악화 절정으로 이끄나

2015-08-17 13:46

[사진=대우조선해양 노조 제공]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지난 2분기 모두 합쳐 5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손실을 기록한 국내 조선 빅3(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가 구조조정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임단협과 맞물려 노사갈등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전망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17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와 올해 초 대규모 인원감축을 단행한 현대중공업에 이어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구조조정에 나서며 올해 중 약 3000여명의 직원들이 회사를 떠났거나 떠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업계 일각에서는 올 여름 임단협을 진행중인 상황에서 해고사태가 발생 할 경우 조선사 노조들이 총력대응에 나설 태세여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상황이다.

조선소 노조 중 가장 먼저 대응방침을 밝힌 곳은 대우조선해양 노조다. 대우조선해양은 자구계획안에 대한 후속 조치를 발표하고, 부장급 이상 임원 1300명을 대상으로 다음달 말까지 희망퇴직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인사고과와 나이 등을 고려해 대상 임직원 순위를 정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장인력에 대해서는 현재 인력감축 계획은 없다고 회사는 밝혔다.

이에 대해 노조는 구조조정안에 대해 합의한 바 없다며 구조조정 강행시 강력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노조는 지난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구조조정이라는 명목하에 현장을 통제하고, 현재 진행중인 단체교섭에 영향을 미치려는 회사의 의도에 대해 반대한다”며 “생산 현장에 혼란을 야기 시키는 그 어떠한 구조조정에도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회사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인적쇄신을 포함한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노동조합에 통보하고 이에 대한 협의를 해야 할 것”이라며 “정성립 사장이 내정당시 노동조합과 약속한 (인위적 구조조정은 없다는) 사항을 지켜 회사가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릴 높였다.

또 삼성중공업의 경우도 임원감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회사측은 구조조정 계획은 현재까지 없다는 입장을 내놓은 상태지만 해양 등 일부 사업부문 축소 영향으로 일부 임직원들의 퇴직 가능성은 열려있는 상태다.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는 현재까지 회사측의 뚜렷한 움직임이 없는 만큼 우선 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적자를 노동자에게 전가할 경우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사측의 인력 구조조정 중단 선언에도 추가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이라는 야드 내 루머에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조선업계의 대규모 적자로 투자자들의 손실 등이 이어진 만큼 조선업 노조가 맞대응에 나설 경우 오히려 조선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만 부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쉽사리 집단행동에 나서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3사의 대규모 적자는 생산과 무관하고, 현재 건조에 돌입해야 할 물량들이 줄줄이 대기해 있는 만큼 노동자들에 대한 구조조정은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하지만 해양부문 사업철수 등이 이어질 경유 효과적인 인원재배치가 아닌 구조조정으로 이어진다면 노사간의 갈등은 더욱 깊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