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한류 확산 모멘텀 위축 우려”

2015-08-12 16:05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한류가 아시아에서 중남미, 중동, 유럽 등까지 확산되면서 경제적 파급효과가 제조업의 1.3배에 달했으나 최근 그 동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어 한류 붐 지속을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김극수)이 12일 발표한 ‘한류의 현주소와 확산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 11개국에 대한 최근 한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 한류 붐의 모멘텀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만큼 새로운 수출 성장 동력으로서 한류콘텐츠 산업의 적극 육성이 필요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세계 검색엔진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구글의 검색량(K-POP, 영화)과 현지 한류 관련 동호회 활동을 통해 아시아(중국, 일본, 베트남), 중남미(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칠레), 중동(UAE, 사우디아라비아), 유럽(프랑스, 헝가리)의 한류 현주소를 살펴본 결과 중국 및 중남미 일부국가를 제외하고는 한류 붐이 하락하거나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콘텐츠 산업의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 효과는 제조업을 크게 상회했으며 고용과 자본을 고려한 생산유발 효과 (RS 생산유발)도 제조업의 1.3배 수준에 달했다.

또한 문화콘텐츠 수출 상위 30개국의 2000년~2014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문화콘텐츠 수출이 10% 증가 시 전체 소비재 수출은 0.18% 증가하고, 외국관광객 유입규모는 약 0.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영 무협 수석연구원은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만큼 한류 붐을 지속적으로 확산시켜 문화콘텐츠 산업을 새로운 수출 동력으로 육성시켜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한류 업계의 △현지 문화와의 접점 활용 △이업종간 연계 마케팅 △원거리 극복을 위한 간접공연 활용 등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동시에 한류 확산에는 핵심콘텐츠가 중요한 만큼 규모가 영세한 대부분의 우리 업계를 위해 정부의 △세제·금융 지원 확대 △대형공연장 등 문화 인프라 확충 △해외 진출 시 현지국 규제 완화 개선 등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