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조사의뢰로 발끈한 힐러리…'거짓말 정치인' 이미지 깰 수 있을까

2015-07-26 15:03

[사진= 클린턴 전 장관 페이스북]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미국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사진) 전 국무장관이 ‘이메일 게이트’에 또 발목이 잡혔다. 미국 국무부와 정보기관 담당 감찰관이 클린턴 전 장관의 개인 이메일과 관련해 법무부에 “공직자는 기밀 정보를 개인시스템을 통해 전송해서는 안 된다”며 수사를 의뢰했다. 이에 따라 클린턴 전 장관은 그의 아킬레스건인 ‘거짓말쟁이 정치인’이라는 이미지가 굳어질 위기에 처하면서 대선 가도에 빨간불이 켜졌다.

발단은 뉴욕타임스(NYT)의 지난 23일(현지시간) 보도였다. NYT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임명한 감찰관 2명이 클린턴 전 장관이 장관재직 시절 사용한 개인 이메일에 대해 감찰한 결과 기밀로 분류될 수 있는 수백 건의 메시지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감찰관들이 이러한 사실을 국무부에 통보했고 국무부가 법무부에 수사를 요청했다고 NYT는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감찰관들이 클린턴 전 장관의 서버에서 기밀이 담긴 이메일 최소 4건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그러자 공화당이 즉각 공격에 나섰다. 공화당 소속의 존 베이너 하원의장(오하이오)은 24일 성명을 내고 “오바마 대통령이 임명한 2명의 감찰관이 법무부에 클린턴 전 장관이 기밀이 담긴 이메일을 잘못 다뤘는지 조사할 것을 요구했다”며 “만약 클린턴 전 장관이 정말 숨길 게 없다면 서버를 당국에 즉각 넘겨 완전한 기록을 점검토록 함으로써 이를 입증해야 한다”고 몰아세웠다.

의회 벵가지사건 조사특위 트레이 가우디(공화) 위원장도 성명에서 “다른 기밀정보의 존재 여부를 알기 위해 그 서버의 내용을 조사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며 쟁점화에 나섰다.

클린턴 전 장관은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24일 뉴욕 연설에서 “부정확한 사실들이 많다”면서 “나는 5만5000쪽 분량의 이메일을 공개했으며 하원 벵가지특위에서 답변할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며 강조했다.

실제로 NYT는 이날 오후 정정기사를 내고 “감찰관들의 법무부 의뢰는 개인 이메일 계정과 관련된 기밀정보의 잠재적 위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이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감찰관이 법무부에 클린턴 전 장관의 개인이메일 사용과 관련한 형사수사를 요청했다는 이전 보도가 오보라고 물러선 것이다. 법무부는 감찰관들의 수사 의뢰를 받아들일지 아직 결정하지 않은 상태다.

클린턴 전 장관 캠프는 이에 대해 “편파적인 취재원이 준 무모하고 부정확한 정보를 흘리는 데 의존한 기사의 위험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그럼에도 감찰관들의 이메일 관련 의뢰 요청으로 클린턴 전 장관의 불신 이미지가 다시 부각됐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한편 클린턴 전 장관의 닉 메릴 대변인은 “클린턴 전 장관이 오는 10월22일 미 하원 벵가지 사건 조사 특위에 출석한다“고 25일 밝혔다. 클린턴 전 장관은 벵가지 사건을 개인 이메일로 보고 받은 데 대해 공화당이 거세게 반발하자 대선용 정치공세라며 그간 출석을 기피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