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기획] 아물지 않은 상흔 '6.25는 진행형'
2015-06-24 00:59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25일이면 '동족상잔의 비극' 6·25 전쟁이 발발한지 65년이 된다. 전쟁의 포성은 멈췄지만 '발포중지'에 합의하고 맺어진 정전협정은 여전히 우리의 평화를 보장해 주지 못하고 있다.
군인·민간인 400만명의 사상자를 낸 6.25 전쟁은 65년간 이산가족들에게 애가 끊어지는 고통을 가져다주었다. 이산가족의 고통이 남아있는 한 한반도의 전쟁은 현재진행형이다.
◆ 준비되지 않은 이별…이산가족 절반 가까이 숨져
23일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최 할아버지처럼 6·25전쟁 때 가족과 헤어지고 지금까지 떨어져 사는 이산가족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남한에만 총 12만9688명에 이른다.
이들 이산가족 중 절반가량인 6만2845명은 이미 숨져 생존자는 6만6843명에 불과하다.
◆시간만큼 벌어진 남북격차…대외교역 규모 146배 차
이산가족 생존자가 줄어드는 것과 반비례해 남북한의 경제력 격차는 극명하게 증가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현재 남한의 명목 GNI는 1441조1000억원으로 북한(33조8000억원)의 42.6배에 달한다.
한국의 2013년 경상 GDP는 1429조4000억원으로 북한(33조6000억원)의 42.5배다.
이런 경제력 격차 확대가 언젠가 이뤄야 할 통일 과정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통일 비용을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을 남한의 1인당 국민소득의 일정 수준까지 도달시키고 북한 주민에게도 남한과 같은 수준의 복지를 제공하는 데 들어가는 돈으로 정의하면 경제력 격차 확대는 더 큰 비용을 의미한다.
최성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제적 격차 때문에 통일 비용이 많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남북한 경제력 격차가 확대되는 것을 막으려면 경제협력을 통해 북한 경제가 살아날 수 있도록 민간과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는 시스템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6·25 발발 65년이 되는 이 시점에서도 남북은 당국간 교류는 고사하고 민간 차원의 교류마저 무산되는 등 최악의 상태를 걷고 있다.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관계 경색으로 2008년에는 한 해를 걸렀고 2009년, 2010년엔 한 차례씩 열린 이후 2014년 2월 20일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상봉 행사가 열리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올해 개최 될 것으로 알려졌던 6·15 남북 공동행사와 광주U대회를 보이콧한다고 통보해 왔다. 이유는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서울 개소'와 '남측의 군사대결 추구' 등을 꼽았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남북 당국 간 불신의 골이 너무 깊어 남북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불신을 신뢰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남한은 이산가족 상봉, 북한은 금강산 관광 재개에 비중을 두고 있는데 우리 정부가 이 둘을 아우르는 남북회담을 제의하는 등 '통 큰 접근'이 필요하다" 조언했다.
이산가족의 아픔을 없애기 위한 남북 당국의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