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시행 이후 기기변경 ‘감소’ 번호이동 ‘증가’

2015-06-14 14:33

[미래창조과학부]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지난해 10월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이동통신사의 기기변경 가입자는 크게 늘어난 반면 번호이동 가입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단통법 시행 전인 지난해 1∼9월 이통3사의 유형별 가입자 비중(평균)은 신규가입이 34.8%, 번호이동이 38.9%, 기기변경이 26.2%였다. 번호이동이 가장 많고 기기변경은 가장 적은 분포를 보였다.

하지만 단통법 시행 첫 달인 작년 10월부터 신규가입 36.9%, 번호이동 25.3%, 기기변경 37.8%로 변화를 보였다. 번호이동이 줄어들고 기기변경은 늘어난 것으로 이런 추세는 시간이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다.

실제로 번호이동 가입자 비중은 4월 21.2%로 단통법 시행 후 최저점을 찍었다. 같은 달 기기변경 비중은 54.7%에 달해 반대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신규가입은 24.1%였다.

5월에는 번호이동이 24.2%, 기기변경이 48.9%로 번호이동은 줄고 기기변경은 늘어나는 추세가 다소 후퇴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만, 단통법 시행 뒤 번호이동 가입자 비중은 꾸준히 30%를 밑돌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월별로 이통사들이 벌이는 각종 행사에 따라 유형별 가입자 비중에 등락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번호이동은 줄고 기기변경은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런 변화를 가입 유형에 따라 지원금에 차등을 두지 못하도록 한 단통법의 효과로 해석하고 있다.

과거에는 이통사들이 가입자 뺏기 경쟁에 몰두하면서 지원금을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집중, 가입자들이 지원금 혜택을 보기 위해 반강제적으로 번호이동을 했지만 단통법 시행 이후에는 장기고객으로 남는 기기변경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주장이다.

또한 정부는 지난달 KT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출시하며 본격화한 요금 경쟁도 단통법의 효과로 보고 있다.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과거처럼 언제 갑자기 대규모의 마케팅 비용을 풀어야 할지 몰라 이에 대비해야 할 일이 없어졌고, 이런 불확실성이 사라지면서 생긴 여유가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전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미래부측은 “데이터 중심 요금제는 단통법이 없었다면 앞으로 5년 정도는 도입이 불가능한 요금제였다”며 “단통법으로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이제 요금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