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화 물결 中시장…경합심화 등 소비재 수출 '비상'
2015-06-08 06:00
중국 시장 수입개방 확대 '1576억 달러 성장'…소비재 수출은 하락세 '뚜렷'
대(對)중국 수출도 넉달째 '추락'…선진국과의 '심화경쟁' 엎친데 덮친격
대(對)중국 수출도 넉달째 '추락'…선진국과의 '심화경쟁' 엎친데 덮친격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중국시장에 대한 우리기업들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경합심화 등 소비재 수출 하락은 풀어야할 과제로 지목되고 있다. 중국 소비재 수입시장에서의 점유율 회복세가 우리 수출전선을 좌지우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정부기관 등에 따르면 중국의 소비재 수입규모가 매년 성장하는 반면 우리나라의 소비재 시장 점유율은 하락 추세다. 지난달 국제무역연구원이 공개한 ‘중국의 소비재 수입 동향’을 보면 중국의 소비재 수입규모는 2007년 435억 달러에서 2014년 1576억 달러까지 성장했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동일한 기간 동안 6%에서 4.5%로 추락했다. 이는 독일·이탈리아·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점유율 상승과 대조적인 양상이다.
현재 전문가들은 변화하는 중국 소비재 수요 고급화와 대적할 새로운 전략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 소비재 수입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끌어올리지 못하면 수출전선은 비상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대(對)중국 수출도 올해 2월 -7.7, 3월 -2.6, 4월 -5.2, 5월 -3.3 등 넉 달째 추락하고 있어 엎친 데 덮친 격이다.
따라서 경쟁국과 치열한 경합 관계에 놓인 품목을 중심으로 차별화 등 묘수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아울러 감소세를 이어가는 중국 시장 내 우리나라의 소비재 점유율과 대중국 수출상황을 타개할 선제적 공략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관세청 관계자는 “한·중 FTA 발효에 대비해 대중국 수출기업이 FTA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중 FTA에 특화된 ‘10대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을 개발, 보급한다”면서 “FTA 비즈니스 모델이란 기업이 FTA 무역환경에서 관세혜택·원산지 규정 등을 가장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사업 모델”이라고 말했다.
특히 해외 소비재 관련 기업에 대한 해외투자 및 기업결합(M&A)이 증가하는 만큼 중국 시장 대상의 한·중 비즈니스 협력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지난 1일 한·중 FTA 정부 간 공식 서명이 체결되면서 중국기업도 우리나라와의 비즈니스 협력에 큰 관심을 보이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한·중 FTA 정식서명 이후 중국 산동성 지난(济南)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 ‘2015 지난 한국상품전’이 그 기대감을 엿볼 수 있던 자리로 평가되고 있다”면서 “포브스 선정 아시아 50대 기업인 쑤닝그룹, 산동성 유통 1위인 루상그룹 등 중국기업들이 한국 제품의 수입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으로 안다. 중국 내수시장의 선제적 공략을 강화해 나가면서 국산 소비재 브랜드를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