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중앙대 특혜 의혹' 박범훈 전 수석 30일이나 5월1일 소환 예정

2015-04-29 07:49

▲박범훈(6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의 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은 30일이나 내달 1일 박 전 수석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박범훈(6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의 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은 30일이나 내달 1일 박 전 수석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배종혁 부장검사)는 박 전수석과 소환 일자를 조율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박 전 수석은 청와대에서 일하던 2011년 중앙대의 역점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해달라고 교육부에 압력을 행사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를 받고 있다. 박 전 수석은 2005~2011년 중앙대 총장을 지냈다.

중앙대는 2011∼2012년 본교와 안성캠퍼스의 통합, 교지 단일화, 적십자 간호대 인수 등 역점 사업들을 모두 성사시켰다.

박 전 수석은 자기 토지를 기부해 설립한 경기 양평군 중앙국악연수원을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는 재단법인 뭇소리 소유로 편법 증여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특히 검찰은 중앙대와 교육부 관계자들을 조사하면서 박 전 수석의 비리 단서를 추가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대를 소유한 두산의 계열사들이 뭇소리재단에 2008년부터 2012년 사이에 10억원대의 후원금을 제공한 의혹도 새로 드러났다.

박 전 수석 부인은 2011년 정식 계약기간이 아닌 때 두산타워 상가를 분양받았고, 두산엔진은 지난해 박 전 수석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기도 했다. 박 전 수석의 장녀(34)가 지난해 중앙대 교수로 임용된 점도 논란이 됐다.

검찰은 두산 측에서 박 전 수석 측으로 제공된 각종 금품이나 혜택이 청와대 재직 시절 교육부 등에 외압을 행사해 중앙대의 사업 편의를 봐 준 대가일 수 있다고 보고 적용 법리를 검토하고 있다.

검찰은 박 전 수석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막말 파문'으로 중앙대 이사장직에서 물러난 박용성(75) 전 두산그룹 회장을 소환해 중앙대 특혜 의혹에 대해 추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