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교육청이 농촌·도심학교 급식단가 차이 줄이려 노력해야”

2015-04-21 13:44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농촌지역 학교의 급식단가가 도시지역 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된 이유는 교육청의 식재료 구매방법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남도는 현재 학교별로 식재료를 구매함에 따라 학생 수에 따른 식재료 단가 차이로 학생 수가 적은 농어촌 지역의 급식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식재료 구매방법을 학교별 구매에서 시·군의 교육지원청별 공동으로 구매하게 되면 도심지역과의 단가 편차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경남도내 동일 시·군 내에서도 급식단가 차이가 많게는 한 끼에 1000원 정도 나며 한 달 2만원가량 된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해 9월 2014년 학교급식실태 모니터링을 하면서 경남교육청에 이에 대한 개선안을 내놓았다.

도에 따르면 학교별로 식재료를 구매할 경우, 상대적으로 학생 수가 적은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의 급식단가 상승 등 문제점이 있어 교육청에 식재료 구매방법을 학교별 구매에서 교육지원청별 공동구매 방식으로 전환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경남도교육청은 학교장의 권한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이를 거부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해 10월 식재료 구매방법을 교육지원청별로 구매가 가능하도록 교육부에 법과 제도 개선을 건의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교육감 또는 교육장이 학교장과 협의해 교육지원청별로 식재료를 공동구매할 수 있으며, 이미 시·도 교육청에 지침을 시달했다고 밝혔다.

현재 경기도교육청에서는 교육지원청 단위로 식재료를 공동 구매해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학교 간 급식단가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농어촌지역 급식단가 상승은 지자체의 예산지원 중단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지금이라도 교육청이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방법을 개선하면 급식단가 차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