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 제약산업 투자 미흡…‘파마 2020’ 달성 어려워”
2015-04-22 00:05

김옥연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장[사진=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 제공]
아주경제(세종) 조현미 기자 = 김옥연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KRPIA) 회장은 21일 “한국의 제약산업 지원 정책은 내용이나 속도 면에서 미흡하다”며 “지금 같은 상태에서는 한국 정부가 발표한 ‘파마(Pharma) 2020 비전’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국얀센 대표이사로 지난 3월 KRPIA 첫 여성 회장직에 오른 김 회장은 이날 세종시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내 제약산업 지원책이 다른 국가에 크게 못 미친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에 따르면 북미·유럽과 함께 제약 선진국으로 꼽히는 일본은 혁신적인 신약을 개발하면 10년간 보호·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정부가 2012년 발표한 파마 2020 비전은 ‘2020년 세계 7대 제약강국’을 목표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까지 수출 11조원을 달성하고 글로벌 신약 4개를 창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김 회장은 이에 대해 “제약사가 개발한 우수 의약품도 정부로부터 제대로 된 약가를 책정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한국 신약이 해외에서 경쟁력을 가지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문제는 가격 수준이 너무 낮으면 현지 판매 업체가 상업성이 없다고 판단해 수입이 무산될 수 있다는 데 있다.
실제로 일양약품의 궤양치료용 신약 ‘놀텍’과 보령제약이 개발한 국내 첫 고혈압약 ‘카나브’가 이같은 이유로 중동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김 회장은 “현행 약가 제도는 한국 제약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데 발목을 잡고 결과적으로 성장에 직접적인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며 “이는 파마 2020 비전에도 배치되는 것으로, 정부 일관성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