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에 몸 팔다 왔대요’ 초등생 위안부 교재 논란
2015-04-14 11:09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초등생 위안부 교재에 일본군에 몸 팔다 왔다는 내용이 담겨 논란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한선교 의원(새누리당)은 여성가족부로부터 제출 받은 초‧중‧고등학교 학생용 및 교사용 위안부 교재(감수용)를 분석한 결과 올바른 역사관 고취를 위한 교육용 교재로 학교 수업용 교재로 쓰기에는 곳곳에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14일 밝혔다.
일본의 계속되는 역사왜곡에 바른 역사를 제대로 가르치자는 우리나라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여성가족부에서는 교육부와 함께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교육용 교재를 제작해 배포를 앞두고 있다.
한 의원실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정의와 역사적 의미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돼야 하지만 교재 곳곳에서는 의미가 모호하게, 또는 일본입장에서의 해석을 설명해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등학교 교재에서는 도입 첫 페이지에서 용어에 대한 바른 설명을 찾아 연결하는 문제를 제시하며,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일제에 의한 당시의 특수한 분위기를 전달해준다는 점에서 작은 따옴표(’)를 붙이고, 범죄의 주체인 가해자 일본군을 넣어 만든 용어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명칭이다‘ 라고만 설명하고 있고 일본군 ‘위안부’가 일본군에 강제로 끌려가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한 여성을 일컫는 용어라는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도록 정의돼 있지 않다.
교사용 교재에서도 ‘위안소에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의사에 반해 동원됐고 이 여성들을 ’위안부‘라 불렀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란 위안소에 동원돼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한 여성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한 의원실은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는 ‘강제적’이라는 표현보다 현저하게 부드럽게 표현한 것으로 일본 측에 유리하게 기술한 것이고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증언과 같이 강제로 끌려갔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으나 이를 제대로 설명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여성가족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서 중요한 것이 위안소 안에서의 ‘성폭력’이 일어난 참상이고 이의 피해극복을 위한 인권활동 등으로 ‘강제동원 됐다’ 또는 '의사에 반해서 동원됐다'가 혼용되고 있는데 감수하는 과정에서 '강제 동원됐다'로 일치하는 것으로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교육용 동영상 자료에는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다가 해방이후 귀향한 소녀에게 동네사람들이 수군거리는 장면에서는 “그 얘기 들었어요? 명자가 3년 동안 일본군들한테 몸 팔다 왔대요”라는 나레이션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나 어떤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지 우려된다고 한 의원실은 지적하기도 했다.
감수를 맡은 한 위원은 교사용 교재에서 일본군‘위안부’의 영문표기를 ‘Comfort Women’으로 표기한 것을 ‘Sexual Slavery’로 고쳐야 하고 피해자 사실을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며 용어의 중요성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한 의원실은 일본군 ‘위안부’를 ‘Comfort Women’로 표기한 것과 같이 해 초·중학교 교재의 도입부분에서는 ‘알맞은 용어 사용에 대해 알아볼까요?’라는 학습내용 부분에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일본군 ‘위안부’라는 말은 가해자인 일본군의 입장에서 위로와 편안함을 준다는 의미로 사용됐지만 당시에 사용된 말로 시대 상황을 보여주는 역사적 용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들었다.
여성가족부에서 ‘일본은 위로와 편안함을 준다는 의미로 사용했고, 역사적 용어라 작은따옴표를 써서 사용했다며 일본군 ‘위안부’의 표기방법에 대한 해석을 내놓았을 뿐이라고 설명하는 데 대해 한 의원실은 왜 일본 입장에서의 해석만 설명해놓았는지, 당시 시대상황을 보여준 역사적 용어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어색한 설명에 대한 문제의식은 갖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고 과연 역사관을 정립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재로 일본입장에서의 설명과 해석에 따른 용어의 표기는 반드시 재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재에 단원 제목과 내용의 관계성이 맞지 않은 부분도 드러났다.
교사용 교재 11쪽에 있는 Q&A에서 ‘Q> 위안소란?’의 답으로 ‘A> 위안소의 형태는 △군이 직접 경영한 위안소, △군이 민간에게 위탁하여 운영한 위안소, △일정기간, 군이 민간 매춘업소 등을 지정해 이용한 위안소로 나눌 수 있는데, 3가지 경우 전부 다 군이 위안소 경영을 통제·감독하고 있었다“고 기술해 위안소의 정의, 뜻을 묻는 질문에 답에는 위안소의 종류와 통제권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고 한 의원실은 지적했다.
한 의원실은 또 초·중학교 교재 중 ‘일본군 위안소 제도는 왜 생겨나게 된 걸까요?’에 ‘1.전쟁에 동원된 우리 민족, 2.밥숟가락 하나 남기지 않고 가져갔다, 3.침략전쟁에 동원되다, 4. 전쟁의 큰 피해자 일본군 ‘위안부’’의 네 부분으로 나눠 간략하게 설명해 제도가 생겨난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기보다는 배경과 주변 이야기 위주로 기술하고 있고 ‘4.전쟁의 큰 피해자 일본군 ‘위안부’에서는 “명목으로 내세워”라고 쓰긴 했지만 일본의 입장에서 ‘위안부’의 필요성에 대해 자기합리화를 하는 변명을 교재에 수록해 일본군 ‘위안부’가 어떤 피해를 당했는지를 설명하는 게 더 적절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첫번째에 기술된 ‘점령지역 여성에 대한 성폭행 방지’ 부분에서는 점령지역 여성이 바로 우리나라의 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여성에 대한 성폭행 방지를 위해 위안소가 운영되었다는 것은 의미상으로도 맞지 않은 설명이라고 지적했다.
한 의원실은 교재 및 프레지 자료 등에 표현된 ‘위안소 제도’라 표기된 ‘제도’라는 표현은 옳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여가부에서 정정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중학교 교재 14페이지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OX퀴즈 2번 문항에서는 “일본군 ‘위안부’는 대부분 자발적으로 동원된 여성들이다. (○,×)”라고 돼 있어 답은 ‘×’이지만 ‘×’를 선택한 학생들 간에도 ‘대부분’이 아니라 ‘일부’가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하여 답하는 학생들도 있을 수 있어 굳이 ‘×’의 답을 유도하기 보다는 ‘강제적’으로 동원된 여성이라는 의미가 더욱 확실하게 표현되고 전달될 수 있도록 기술해 ‘O’의 답을 유도하는 문제를 내는 것이 더욱 교육적일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초·중학교 교재의 설명부분에서 동일한 부분이 많아 초등학교 교재 10쪽과 중학교 교재 8페이지에 공통으로 나오는 내용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만든 교재이긴 하지만 성병감염, 인공 유산, 불임 수술 등과 같은 용어의 사용이 적절한지, 여기에 실린 사진들이 적절한 것인지,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다른 표현을 사용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신중히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교재와 교수학습자료는 위탁기관에서 개발과 감수까지 마치고 다시 교육부에서 전문가집단으로 구성한 감수회의까지 마친 상태로 현재 수정·보완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교에서 쓰일 교재를 개발하는데 교육부가 행정지원 수준의 참여밖에 하지 않고 실정이라고 한 의원실은 지적하기도 했다.
한선교 의원은 “일본이 왜곡된 교과서를 검정통과 시킨 이럴 때일수록 우리의 역사에 대해 더욱 올바르고 철저하게 가르칠 필요가 있어 일본군 ‘위안부’ 바로 알기 교재를 만들었으나 교재의 내용에 대해 수정·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적지 않게 있다”며 “이미 4월 중순에 배포하겠다고 발표는 했지만 시점만을 맞추기 위해 서두르기 보다는 우리나라 학생들 모두가 볼 교재이고 올바른 역사관을 갖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한 만큼 충실한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꼼꼼히 검토하고 수정해 학생들에게 제공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