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의 횡포? LG유플러스, 알뜰폰 사업자 가입비 강제 폐지 논란

2015-04-03 05:57
알뜰폰 사업자 “일방 폐지 강요” vs LG유플러스 “합의 거쳤다”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LG유플러스가 이른바 '갑(甲)의 횡포'를 휘둘러 알뜰폰(MVNO) 사업자들의 가입비 폐지를 강요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파문이 일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 1일 자사의 전산 시스템을 임차해 영업하는 알뜰폰 사업자 13개사가 합의를 통해 가입비 폐지에 동참했다고 밝혔으나, 실제로는 전체 사업자들이 동의하기 전에 전산 시스템에 이미 가입비 항목을 삭제해 일방적으로 가입비 폐지를 유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2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 전산 시스템을 빌려 영업 중인 알뜰폰 사업자들은 가입비 폐지 전산 적용을 지난 3월 31일부터 적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뜰폰 사업자는 기존 이동통신 3사가 전국에 세워놓은 통신망을 빌려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사업자는 총 3가지로 분류되는데 완전 MVNO와 부분 MVNO와 다르게 단순재판매사업자는 망과 함께 영업과 관련된 소비자 관리 및 과금시스템을 빌려 쓰고 있다.

LG유플러스로부터 전산 시스템을 빌려 쓰는 알뜰폰 사업자는 미디어로그, 스페이스네트, 머천드코리아, MTT텔레콤, 인터파크INT, 홈플러스, 이마트를 비롯해 울산방송과 남인천방송 등 총 13개사다.

A알뜰폰 사업자는 "전산 시스템에 가입비 항목 자체가 없어진 탓에 LG유플러스의 가입비 폐지 결정을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며 "물론 장기적으로 가입비 폐지를 결정할 예정이었으나 이렇게 빠르게 할 줄은 몰랐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B알뜰폰 사업자는 "전산 적용은 4월 1일이 아니라 정확히 3월 31일이었다"면서 "LG유플러스가 따라갈 수밖에 없게 선 조취해놓고 일부의 동조를 두고 마치 모두가 동참한 것으로 포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장기적인 매출 부진에 허덕이며 가입비 폐지를 부담스러워하는 영세 사업자들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가계통신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큰 틀에서의 접근에는 이견이 없지만, 선순환 경영을 위한 각 사의 전략적 판단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과 KT와는 달리 LG유플러스만 이러한 태도를 견지한 부분도 이해할 수 없다는 견해다. 이는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이 최근 탈통신 전략의 기반으로 강조하고 있는 중기 벤처와의 상생 협력과도 배치된다.

KT 전산 시스템을 쓰는 알뜰폰 사업자는 총 11개사로 현재 가입비 폐지를 결정한 곳은 에넥스텔레콤 1개사 뿐이다.

에넥스텔레콤 관계자는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한 경영진의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가입비 폐지는 KT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으며 폐지 결정 후에도 전산 시스템에는 여전히 가입비 항목이 떠 있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업계 최초로 가입비 폐지를 결정한 SK텔레콤의 경우 총 10개사가 전산 시스템을 빌려 쓰는 데 아직 가입비 폐지를 결정한 사업자는 한군데도 없다.

SK텔레콤 측은 "아직 알뜰폰 사업자들의 가입비 폐지 요청은 없었다"며 "일부 사업자들이 논의는 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 측은 해당 사업자들의 공통적인 증언에도 불구하고, 사실과 다르다며 부인하고 있어 향후 진실공방을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전산 시스템에 사업자별 가입비 코드가 여전히 있다"며 "알뜰폰 사업자 모두 합의 하에 가입비를 폐지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는 "사실조사를 파악해봐야 하겠지만 불공정 거래행위의 소지가 있다"며 "실제로 문제가 발생했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