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싱크홀'… 서울시, 도로함몰 원인 노후하수관 정비 2890억원 투입

2015-03-19 11:15

  [표=서울시 하수도통계]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시내 도로함몰의 주 원인으로 꼽히는 노후하수관로 정비에 올 한해 2890억원이 투입된다.

서울시는 올해 노후하수관로 정비에 2890억원을 들여 각 자치구 예산을 배정한 뒤 오는 20일부터 공사 발주에 들어간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의 하수관로는 총 1만392㎞(2013년 12월 기준)으로 이 가운데 30년 이상 노후하수관로만 절반에 달하는 약 5000㎞(48.3%)다. 사용 연도가 50년이 넘는 것도 932㎞ 규모에 이른다.

특히 노후관로 중에서도 3700㎞가 도로함몰 우려지역(충적층 및 도로함몰 발생지역)에 위치해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곳을 모두 보수하려면 4조500억여 원의 막대한 예산이 든다.

당시 서울시가 벌인 도로함몰 조사결과에 따르면 연간 크고 작은 도로함몰 건수는 2014년 7월 현재 약 681건. 이 중 하수관로 노후불량에 의한 건수는 무려 85%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서울시는 연내 노후하수관로 정비에 1840억원, 하수도침수방지 사업에 1050억원을 각각 쓴다.

노후하수관로 정비예산은 지난해보다 35% 증가했는데, 최근 서울시내 곳곳에서 발생하는 도로함몰로 시민불안이 가중된데 따른 것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이번 예산을 송파·여의도·강북 등 서울 일부지역의 노후하수도에 투입, 도로함몰 예방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지만 여전히 도로함몰을 원천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하수도 정비예산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시는 50년 이상 노후된 하수도 932㎞를 2018년까지 정비하는데 매년 평균적으로 2565억원이 소요된다고 내다봤다. 반면 서울시 재정 여건상 1548억원이 한계이므로 해마다 1017억원의 국비보조가 절실하다.

김학진 서울시 물순환기획관은 "노후하수관로는 도로함몰의 주요 원인으로 사고가 이어질 경우 재난수준과 동등한 피해로 발생하게 된다"며 "낡은 하수관로 정비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