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증권 유관기관 '새 먹거리' 업계 착취 안 돼

2015-03-18 16:12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증권업계 유관기관이 전략기획팀 아래 학습동아리까지 구성하고 새 먹거리가 될 수 있는 신사업 찾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기존 사업이 쇠락하자 살아남기 위한 자구책을 찾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세계 금융 유관기관과의 경쟁이 가시화된다는 점에서도 신사업에 대한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증권 유관기관은 새 먹거리를 위해 신입사원부터 부장까지 한 팀을 구성해 아이디어를 내고 사업성을 따져보고 있다. 이렇게 나온 아이디어가 실제 사업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적지 않은 공을 들이고도 사업화가 무산되는 경우도 많다.

한국증권금융은 적지 않은 시간 동안 소액지급결제에 공을 들였으나, 은행권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사업화를 포기했다. 신사업이 아이디어에서 실제 실행되기까지는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는 핀테크 열기를 타고 금융과 IT산업 연계 방안을 연구하는 곳도 늘고 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증권 유관기관의 사업 영역이 커지는 모양새다. 한국거래소는 올해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을 새로 내놓았고, 예탁결제원은 법인식별기호(LEI) 발급 서비스를 시작하게 됐다. 

신사업은 금융공기업이 방만경영이라는 꼬리표를 떼고 정부의 통제로부터 벗어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실제 한국거래소는 6년 만에 공공기관 지정에서 해제되기도 했다. 예탁원도 준정부기관에서 기타공공기관으로 변경됐다. 그후 독점업무 비중을 50% 아래로 낮추기 위해 신사업 찾기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관이 추진하는 신사업의 고객인 상장 및 비상장 기업의 부담으로 전가돼서는 안 된다. 거래소의 비상장 기업 상장 유도와 예탁원의 법인식별기호(LEI)가 자칫 이들 기관의 수익을 위한 것으로 둔갑해서는 안 될 것이다. 

증권 유관기관이 경쟁력을 갖추고 세계시장에 나아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국내보다는 해외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신사업에 대한 고민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