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금사 문양' 직금제직기술 복원 성공
2015-02-11 10:42
전통문화대학 심연옥 교수 4년만에 쾌거…영조 사치 금지 후 사라져
한국 복식사 전공 심연옥 교수가 2011년 이래 지난해까지 4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이뤄낸 쾌거다. 연구 첫해인 2011년 문헌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의 금사 제작 체계를 밝혀냈고 이듬해에는 한국․중국․일본의 금사 유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과 기술 조사를 수행했다. 아울러 2013년에는 금사 재현에 필요한 배지, 접착제, 금박 등의 최적 재료요건을 제시하여 금사 제작에 성공하였고, 지난해에는 앞선 3년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전통 수공(手工) 문직기를 제작하여 직금 제직 기술을 재현해냈다.
금사(金絲)는 삼국 시대로부터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전통 섬유공예에 사용된 가장 장식성이 뛰어난 소재로 꼽히며, 배지(背紙, 맨 아래에 놓이는 종이) 위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위에 금박 또는 은박을 올려 일정한 너비로 재단하여 만든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는 전통 한지(韓紙)가 배지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여 당시 일본이나 중국과는 다른 우리 고유의 독자적인 금사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직금 제직 기술 등을 적용하여 보물 제1572호 ‘서산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상’(1346년)의 복장 직물인 고려 시대 ‘남색원앙문직금능(藍色鴛鴦紋織金綾, 수덕사 근역성보관 소장)’ 등 직금 유물 3점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심연옥 교수는 "이번 복원사업은 전통기술 복원분야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섬유 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재현·복원할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서 자못 의미가 크다"면서 "아울러 이번 연구 성과는 전통 직금 복식 분야뿐만 아니라 현대적 공예 기법과의 접목을 통해 전통문화의 다각적인 활용과 문화관광 자원화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