킴벌 첸 세계LPG협회장 "한국 LPG차 기술, 세계로 수출해야"
2015-01-28 13:55
'글로벌 오토가스 서미트 2015' 세계LPG협회장 기자간담회

킴벌 첸 세계LPG협회 회장 [사진=대한LPG협회]
아주경제 정치연 기자 = “대한민국은 LPG와 LPG 자동차 관련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인프라 등을 갖춘 선두주자입니다.”
28일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글로벌 오토가스 서밋'에 참석한 킴벌 첸 세계LPG협회장이 한국의 LPG 산업을 높이 평가하며 “한국 정부나 업계도 수출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첸 회장은 이날 오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LPG 자동차는 전기차나 수소연료전기차에 비해 이미 기술이 검증됐고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닌 그린카(Green Car)”라며 “한국은 현재 개발 중인 4세대 LPDi(LPG직분사) 엔진 등 이미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첸 회장은 “LPG는 깨끗하고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이라는 세 요소를 모두 갖춰 세계 각국이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에너지”라며 “LPG 자동차는 휘발유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6% 적고, 경유에 비해서는 미세먼지 발생이 거의 없다. 질소산화물도 적어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프랑스 파리에서 디젤 차량을 금지하고, 영국 런던에서는 디젤차량에 환경세를 부과하는 등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첸 회장은 “한국과 아시아 국가의 LPG 수입선이 다변화됨으로써 그동안 중동에 의존했던 교섭력이 강해질 것”이라며 “최근 중국과 일본 정부 관계자를 만났는데 이들도 북미시장과 장기수입교섭을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국민과 정부가 어떠한 우선순위를 정하느냐에 따라 에너지 선택이 달라진다”면서 “건강을 더 생각한다면, 깨끗하고 녹색의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원한다면, 경제적인 에너지를 원한다면 당연히 LPG를 선택해야 한다”며 LPG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