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신년기자회견, 부정평가 ‘52.2%’…집권 3년차 국정운영 ‘빨간불’

2015-01-14 17:58
[리얼미터·JTBC] 청와대 참모진 교체 ‘필요’ 56.0%…비선실세 인식 ‘동의 안 해’ 52.8%

14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에 따르면 종합방송편성채널인 ‘JTBC’ 의뢰로 지난 13일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52.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국민 10명 중 5명 이상이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박 대통령의 △청와대 인적쇄신론 △소통 방식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등 모두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 집권 3년차 국정운영에 경고등이 켜질 전망이다.

14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에 따르면 종합방송편성채널인 ‘JTBC’ 의뢰로 지난 13일 박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 내용에 대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52.2%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긍정 평가는 39.5%에 그쳤다. ‘잘 모른다’고 답한 답변 유보층은 8.3%였다.

◆與 지지층 74.6% ‘긍정’ vs 野 지지층 75.2% ‘부정’
 

청와대 비선실세 의혹의 당사자인 정윤회 씨. [사진=아주경제 DB]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잘했음 25.5%, 잘못했음 64.2%) △경기·인천(32.2%, 60.9%) △서울(36.0%, 59.7%) △대전·충청·세종(42.2%, 46.7%) 등에서 부정 평가가 높게 나왔다.

여권 텃밭인 △대구·경북(잘했음 66.3%, 잘못했음 29.3%) △부산·울산·경남(47.3%, 36.6%) 등에서는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연령별 부정 평가 비율은 △30대(잘했음 25.1%, 잘못했음 71.7%) △40대(26.0%, 67.5%), △20대(21.2%, 66.3%) 등에서 높았다. 반면 60세 이상(잘했음 66.5%, 잘못했음 21.4%)과 50대(56.1%, 36.7%)에서는 긍정 평가 비율이 과반을 넘었다.

새누리당 지지층에서는 긍정 평가(74.6%)가 부정 평가(16.5%)를 압도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에서는 반대(잘했음 15.2%, 잘못했음 75.2%)였다. 무당층에서는 부정 평가(잘했음 16.9%, 잘못했음 75.9%)가 높았다.

◆靑 참모진 교체 ‘56.0%’…朴대통령 소통방식 비공감 ‘48.1%’
 

국회 본청.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교체 등 인적개편과 관련해선 과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세 비서관은 교체할 이유가 없다’고 밝힌 데 대해 56.0%가 ‘교체해야 한다’고 밝힌 반면 32.1%는 ‘교체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교체 등 인적개편과 관련해선 과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 세 비서관은 교체할 이유가 없다’고 밝힌 데 대해 56.0%가 ‘교체해야 한다’고 밝힌 반면 32.1%는 ‘교체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청와대 인적 쇄신에 대한 긍정 여론이 23.9% 포인트 높은 셈이다. ‘잘 모른다’고 답한 응답층은 11.9%였다.

‘불통 리더십’ 논란에 휘말린 박 대통령의 소통 방식에 대한 조사도 이뤄졌다. 과반에 육박하는 48.1%의 응답층이 박 대통령의 현재 소통 방식에 ‘공감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공감한다’는 의견은 36.9%에 그쳤다.

‘비선실세’ 의혹 사건에 대한 박 대통령의 인식에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라는 의견은 52.8%였다. 반면 ‘동의한다’는 34.1%에 불과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13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임의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 응답률은 6.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