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총체적 난국 여전한 하나·외환은행 조기통합
2015-01-14 10:44
지난해 7월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의 갑작스런 조기통합 추진 발언 이후 금융위는 줄곧 노사합의가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 신제윤 금융위원장 역시 국회 국정감사 등의 자리에서 이에 대해 수차례 강조해왔다. 적어도 이때까지만 해도 금융위의 행보는 KB사태 당시와 달리 일관된 모습이었다.
그러나 최근 노사가 합의하지 않아도 통합을 승인할 수 있다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또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금융위의 입장 번복은 결국 하나금융과 외환은행 노조의 혼란만 부추겼다는 비판을 낳고 있다.
하나금융이 향후 일정을 감안해 오는 3월 김 회장의 임기가 만료되기 전에 서둘러 통합을 마무리지으려는 모습도 개운치 못하다. 실제 외환은행 노조를 비롯한 외환은행 일부에서는 김 회장이 연임을 위해 무리하게 조기통합을 추진하고 있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외환은행 노조 역시 조기통합 등 행내 모든 사안에 대한 협의를 위해 대화 테이블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건설적 협상'보다는 '어깃장'으로 시간끌기에 급급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부쩍 급물살을 타고 있는 하나·외환은행 조기통합에 성공할 경우 하나금융 입장에서는 그동안의 아킬레스건을 제거하는 성과를 거두게 된다. 동시에 외환은행 인수 목적인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물리적 결합 못지 않게 화학적 결합도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다. 통합 후 시너지, 고용안정, 위상 강화 등 노사정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해야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