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장성택 세력 근거지 노동당 행정부 없애고 조직지도부로 이관"
2014-12-04 12:21
이는 북한의 '2인자'로 통하던 장성택 처형 이후 독보적인 권력기구로 떠오른 당 조직지도부가 공안·사법기관을 관장하는 행정부의 권능까지 흡수해 무소불위의 권력을 갖춘 것이어서 주목된다.
따라서 '선군정치'를 내세워 군을 중시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달리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노동당 중심의 국정운영을 펼치는 상황에서 행정부 권능까지 흡수한 조직지도부는 김정은 정권의 '골수'로 확고히 자리잡을 것으로 관측이 나온다.
대북 소식통은 4일 "북한이 장성택 처형의 후속작업으로 그가 수장으로 있던 당 행정부를 중앙과 도(특별시 포함), 시·군 당 단위까지 모두 없애고 중앙과 지방 당 조직부에 행정부의 권능을 가진 '7과'를 신설했다"고 밝혔다.
중앙과 지방의 모든 노동당 단위에서 행정부의 권한과 기능이 조직지도부로 이관됐다는 것이다. 북한이 장성택 처형 이후 행정부를 폐지한 것은 이미 사실로 간주되지만 조직지도부가 그 권능을 흡수한 것으로 알려진 것은 처음이다.
당 행정부는 국가안전보위부(우리의 국가정보원)·인민보안부(우리의 경찰청)·검찰소·재판소 등 공안·사법기관을 관할하던 부서로, 장성택이 2007년 말부터 수장을 맡아 자기 세력의 뿌리를 내린 곳이다. 당 조직지도부는 인사권을 갖고 있으며 모든 간부와 당원, 주민의 조직생활을 통제하는 부서다.
소식통은 "기존 중앙 당 행정부와 도 당 행정부, 시·군 당 행정과에 있던 간부와 직원들은 한 명도 남김 없이 지방의 말단 관료나 노동자로 좌천됐으며 '7과'는 전원 새로운 인물들로 채워졌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북한이 당 행정부의 권능을 담당할 조직의 이름을 굳이 '7과'로 지은 것도 장성택을 연상시키는 '행정부'라는 말 자체를 지우기 위한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조직지도부는 지난해 말 장성택 처형 이후 김정은 정권을 떠받드는 독보적인 권력기구로 급부상했다. 장성택 숙청 과정에서 조연준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숙청을 조직지도부와 행정부의 정면충돌로 보는 해석도 나왔다.
특히 최룡해 당 비서가 최근 김정은 정권의 2인자로 떠오르며 조직담당 비서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조직지도부로 권력이 집중되는 움직임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