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부패' 강조했는데, 국가청렴도 순위는 20단계 하락...中 외교부 '발끈'

2014-12-04 10:00
중국 '반부패' 에도 불구 175개국 중 국가청렴도 순위 100위, 中 외교부 "실상과 어긋난다"
한국 국가청렴도 순위 43위, 북한은 소말리아와 함께 국가청렴도 174위로 꼴찌

시진핑 주석 집권 후 중국 당국이 '반부패'를 강조, 공을 들였음에도 국가청렴도 순위가 20계단 하락해 중국이 '당혹감'을 보이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 = 신화사 제공]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중국 당국이 연일 '반부패'를 강조하고 부패관료의 낙마 소식도 줄을 잇는 가운데 국가청렴도 순위는 오히려 20계단이나 주저앉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중국을 '당혹케' 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부패상황을 조사하는 민간기구 국제투명성기구(TI)가 전날 발표한 '부패인식지수(CPI)'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국가청렴도는 지난해보다 4점이 떨어진 36점을 기록, 100위에 그쳤다고 환추스바오(環球時報)가 독일 시사잡지 슈피겔 보도를 인용해 4일 전했다. 이번 국가청렴도 순위 조사는 총 175개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세계 100위라는 성적은 지난해보다도 무려 20단계나 하락한 것으로 특히 시진핑(習近平) 주석 취임 후 중국 정부가 '반부패, 사치근절' 등을 강조하며 강한 사정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결과여서 국제적 관심이 더욱 집중됐다.

호세 우가스 국제투명성기구 의장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고위 관리가 사리사욕을 위해 공적 자산을 계속 유용한다면 부패를 척결하고 경제성장을 이끌고 있는 노력이 있더라도 그 의미가 훼손될 수 있다"며 중국의 반부패 정책이 '핵심'을 피해가고 있음을 우회적으로 지적했다.

이에 중국 외교부는 "객관성과 공정성이 심히 의심된다"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 중국 정부의 반부패에 대한 의지와 성과는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이번 국가청렴도 순위는 실제 상황과 완전히 어긋나는 결과"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아울러 "이미 중국 반부패 성과는 중국 인민들로부터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며 "국제적 영향력이 있는 국제투명성기구는 이번에 순위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제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시진핑 지도부 집권 후 중국은 국내외적으로 '반부패'를 강조하며 이미지 개선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실제로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18차 당대회) 후 비리 등을 이유로 18만명 이상의 관료가 낙마했으며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정법위원회 서기라는 최고위직 관료도 사정바람에 직격타를 맞은 바 있다.

아울러 지난달 베이징에서 열렸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도 '부패방지에 관한 베이징선언'을 채택하고 APEC 회원국과 해외도피경제사범 검거 등 분야에서 협력도 약속했다.

앞서 2일에는 중국 관영언론인 신화통신이 2014년 중국 당국의 반부패 성과를 '유행어'로 요약하며 높게 평가하기도 했다. 신화통신은 △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부패관료를 잡아들이겠다는 '호랑이와 파리 잡기(打虎拍蠅)' △ 낮은 직급에도 막대한 부(富)를 축적한 관리를 이르는 '소관거부(小官巨腐)' △ 가족을 해외로 보낸 기러기 관료를 의미하는 '뤄관(裸官)' △해외로 재산을 빼돌리고 도피한 관료를 잡아들이는 '여우사냥(獵狐)' 등을 올해 중국 반부패 관련 유행어로 꼽았다.

한편, 국제투명성기구 국가청렴도 순위 1위는 92점을 받은 덴마크가 차지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가 7위를 차지하며 아시아에서 가장 공직사회가 '깨끗한' 나라로 뽑혔다. 홍콩은 74점으로 아일랜드, 미국 등과 공동 17위, 대만은 61점으로 폴란드와 함께 35위에 랭크됐다. 한국은 43위로 우루과이(21위), 카타르(26위) 등 국가보다 뒷자리를 차지했다. 북한은 소말리아와 함께 8점을 받으며 공동 꼴찌인 174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