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구전략 vs 양적완화 글로벌 통화전쟁] "우선 내가 살자"…글로벌 빅4 '국제공조' 실종

2014-12-01 07:56
미국, 양적완화 종료…내년 금리 인상
중국·유럽연합, 일본의 돈풀기 대열에 합류

[[그래픽 = 임이슬기자 90606a@]]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글로벌 빅4로 불리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일본이 세계 경제의 균형보다는 각국의 경제상황 타개를 위한 '자국경제 우선 정책'을 내세우는 가운데 이들 국가의 경제 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글로벌 통화시장은 일본·EU·중국 등 양적완화와 미국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으로 양분돼있다.

중국은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년4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의 '돈풀기' 대열에 합류했다. 미국은 최근 경제회복세가 완연함에 따라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지속했던 양적완화를 종료하고 금리인상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미국은 2008년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과감한 통화정책으로 대응했다. 정책 금리인 연방기금 금리를 5.25%에서 0~0.25%로 인하한데다 세 차례에 걸친 양적 완화를 통해 대규모로 돈을 풀었다.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함께 과감한 통화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미국 경제는 2009년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은 2008년 하반기에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2009년 1분기까지 3.9% 감소했으나 그 이후 GDP가 증가세로 돌아서 올해 2분기에는 경제 위기 직전인 2008년 2분기보다 7.0% 늘었다.

미국은 경기 회복과 함께 고용 증가로 비정상적인 통화정책인 양적 완화를 마무리하고 정상적인 통화정책으로 복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같은 경제노선 변경은 국제 달러화 강세로 이어져 신흥국의 자금 이탈을 불러올 수 있다.

일본과 EU는 양적완화 강도를 높여가고 있고 중국 역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했다.

일본은 소비세 인상의 여파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 빠졌다. 특히 아베노믹스로 불리는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을 펼쳤음에도 이런 결과가 나와서 충격은 더 컸다.

이에 일본은행은 지난달 말 1년간 장기국채 규모를 50조엔에서 80조엔(755조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최근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는 물가상승률 목표(2%) 달성을 위해 필요하다면 추가 완화 정책을 내놓겠다는 뜻까지 밝혔다.

특히 아베 행정부가 내년 10월로 예정된 2차 세율 인상 시기를 연기하기로 결정하면서 통화량을 늘려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세수를 확보할 수 있는 소비세율 인상 시점을 연기하면서 통화량을 늘려 경기를 부양하는 아베노믹스를 강화한 것이다.

EU역시 마찬가지로 대규모의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겠다는 입장이다.

ECB의 마리오 드라기는 최근 1조 유로(1350조원) 규모의 통화를 풀겠다고 시사했다. 마리오 드라기 총재는 제로 수준에 머무는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기 위해 자산 매입 규모와 속도를 키울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는 ECB가 조만간 시중에서 대규모로 채권을 매입하는 공격적인 양적완화에 나설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최대교역국인 중국 역시 자국경제 보호를 위해 금리인하를 단행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2년4개월 만에 예금금리는 연 3.0%에서 2.75%로 0.25%포인트, 대출금리를 연 6%에서 5.6%로 0.4%포인트 내렸다.

인민은행은 "실물경제 지원을 위한 미세조정"이라고 설명했지만 일본의 통화정책에 대한 맞대응 성격이라는 분석이다. 경기 둔화 조짐을 완화하고 위안화의 강세 흐름을 저지하려는 이중 포석이라는 의미다.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은 7.3%로 5년6개월 만에 가장 낮았던만큼 이번에 대출금리를 큰 폭으로 내려 둔화 조짐을 보이는 내수 시장에 강력한 자극을 줘 성장률을 높이겠다는 말이다. 또한 유로화와 엔화의 가치만 급격히 하락하는 현재의 상황을 바라만 보지 않겠다는 의지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