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홍조단괴 침식,해조류가 모래에 붙어서 퇴적?..제주도에 이런 곳이?

2014-10-28 18:01

우도 홍조단괴 침식,해조류가 모래에 붙어서 퇴적?..제주도에 이런 곳이?[사진=우도 홍조단괴 침식,제주도 제공]

우도 홍조단괴 침식
아주경제 홍준성 기자 =우도 홍조단괴 침식의 원인이 밝혀진 가운데 홍조단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홍조단괴는 물속에서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는 해조류인 홍조식물이 단괴(퇴적암 속 덩어리)에 달라붙은 것을 말한다.

우도의 홍조단괴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는 암초 주변의 홍조단괴와 달리 홍조단괴가 해빈의 퇴적물을 이루는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적으로 희귀성이 인정돼 천연기념물 제438호로 지정됐다.

27일 제주시에 따르면 홍조단괴 해빈의 침식현상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적 요인과 호안 건설 등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발생한다는 잠정 조사결과가 나왔다.

파고가 10% 증가할 때 모래 이동량은 21% 늘어나 1979년 10월에는 홍조단괴 해빈 면적이 1만8천318㎡였으나 지난해 8월에는 1만2천765㎡로 34년 사이 30.3%(5천553㎡)가 침식했다.

제주시는 또 연구용역을 통해 자연 해변에서는 높은 파도에 침식됐던 해안이 천천히 복원되지만, 우도에는 호안이 설치돼 해빈이 복원되지 않고 사라지는 현상이 두드러진다고 밝혀냈다.

우도 홍조단괴 침식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우도 홍조단괴 침식,한 번도 못 가봤는데 그런데가 있었군요","우도 홍조단괴 침식,결국 인위적으로는 막을 수 없다는 건가요?","우도 홍조단괴 침식,자연을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거기에 너무 얽매이는 것도 문제인 듯"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