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 연대, BIFF ‘다이빙 벨’ 상영중단 요구에 “독립성 보장하라”(전문)

2014-09-30 09:18

[사진=영화 '다이빙 벨' 포스터]

아주경제 권혁기 기자 = 독립영화전용관확대를위한시민모임, 여성영화인모임, 한국독립영화협회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등 영화인 연대가 정치적 중립 훼손을 이유로 부산시가 영화 ‘다이빙 벨’ 상영중단을 요구한 사실에 대한 공식입장을 밝혔다.

영화인 연대는 29일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압력을 중단하고 영화제의 독립성을 보장하라’는 제목으로 성명서를 냈다.

영화인 연대 측은 “개막을 3일 앞둔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에 공식 초청된 ‘다이빙 벨’을 두고 서병수 부산시장이 ‘정치적 중립을 훼손할 수 있는 작품’이라며 상영중단을 요구한 사실에 대해 한국 영화인들은 매우 큰 유감을 표하는 바”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공식 초청된 작품의 상영을 중단하라는 요구는 부산국제영화제의 역사 19년 동안 처음 벌어진 초유의 사태”라면서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로 성장하고 그 위상을 정립하기까지에는 출범 이후 줄곧 영화제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전통을 지켜왔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연대 측은 또 “부산시장은 영화제의 조직위원장으로 영화제를 지원하고 보호해야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서 되려 정치적 이유를 들어 초청작 상영취소를 요구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영화 관객들의 문화향수 결정권과 판단 능력을 무시하는 전근대적 태도”라고 꼬집었다.

연대 측은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국제적 시선과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라며 “영화인들은 부산시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즉각 부산국제영화제에 가하는 압력과 개입을 멈추고 ‘다이빙 벨’의 상영 중단 요청을 철회하길 강력히 요구한다”고 성토했다.

한편, 영화 ‘다이빙벨’은 세월호 참사 당시 인명 구조 작업 과정에서 동원된 새로운 형태의 해난구조 지원 장비를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 구조 과정의 난맥상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다. 구조 작업 당시 ‘다이빙 벨’의 효용성을 놓고 해경 등 정부 측과 투입 여부를 놓고 충돌을 빚은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세월호 일반인 유가족들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단 1구의 주검도 수습하지 못해 유족을 우롱하고 제품을 실험하는 데 끝나버린 다이빙벨이 다큐로 제작돼 부산영화제에 초청돼 상영된다니 유족 입장에서 분개할 일”이라며 상영금지를 요청하고 나섰다.

이들은 “한쪽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하는 것은 다큐가 아니며 세월호 참사를 가슴에 묻고 치유하기 위해 노력하는 유족의 가슴을 저리게 하는 일”이라며 “294분의 고인과 10명의 실종자를 두 번 죽이는 매우 심각한 처사”라고 강조했다.

세월호 일반인 유가족 대책위는 특히 “영화가 상영되면 법적 조치도 불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세월호 일반인 유가족 대책위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 중 단원고 학생·교사, 세월호 승무원을 제외한 일반인 희생자 43명의 유족으로 구성돼 있다.

이하는 영화인 연대 성명서 전문.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압력을 중단하고 영화제의 독립성을 보장하라

개막을 3일 앞둔 제 19회 부산국제영화제에 공식 초청된 ‘다이빙 벨’을 두고 서병수 부산시장이 ‘정치적 중립을 훼손할 수 있는 작품’이라며 상영중단을 요구한 사실에 대해 한국 영화인들은 매우 큰 유감을 표하는 바이다.

공식 초청된 작품의 상영을 중단하라는 요구는 부산 국제영화제가 시작된 지난 19년 이래 처음 벌어진 초유의 사태이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로 성장하고 그 위상을 정립하기까지에는 출범이후 줄곧 영화제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전통을 지켜왔기 때문이다.

부산시장은 부산국제영화제의 조직위원장으로 영화제를 지원하고 보호해야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서 되려 정치적 이유를 들어 초청작 상영취소를 요구하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납득하기 어렵다. 또한 이런 요구는 영화 관객들의 문화향수 결정권과 판단 능력을 무시하는 전근대적 태도이다. 더불어 전 세계에 한국영화의 발전을 알리고 부산을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영상 문화 도시로 발전시키고 그 위상을 정립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해 온 부산 국제 영화제에 대한 국제적 시선과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이다.

이에 한국 영화인들은 부산시가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즉각 부산 국제 영화제에 가하는 압력과 개입을 멈추고 ‘다이빙 벨’의 상영 중단 요청을 철회하길 강력히 요구한다.

2014년 9월 29일

(사)독립영화전용관 확대를 위한 시민모임 (사)여성영화인모임 (사)한국독립영화협회 한국시나리오작가조합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사)한국영화감독조합 (사)한국영화제작가협회 (사)한국영화촬영감독조합 (사)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