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광복절 하루 앞두고 對日 비판 목소리 강화

2014-08-14 18:31
日 위안부,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에 '역사 인식' 강조

아주경제 조문식 기자 = 8·15 광복절을 하루 앞둔 날이자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인 14일, 정치권이 일본 정부 및 일본 정치권을 향한 비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국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태평양전쟁 A급 전범들의 위패가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등을 놓고 일본정부의 올바른 역사 인식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시설인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을 찾아 피해 할머니들을 위로하고 위안부 역사관을 둘러봤다. 3부 요인(대통령·국회의장·대법원장)인 국회의장이 나눔의 집을 찾은 것은 나눔의 집이 1992년 문을 연 이래 처음이다.

이날 오전 나눔의 집에 도착한 정 의장은 위안부 추모비에 묵념한 후 할머니들과 손을 잡고 안부를 챙겼다. 이 자리에서 정 의장은 "인간성에 깊은 상처를 남긴 일본의 과거 만행을 세상이 다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현재 그것을 가리고 없던 일로 하려 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일본이 전 세계인들에게 참회하고 반성해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결의를 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빠른 시일 내에 일본을 방문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며 "일본 국회의장을 만나게 되면 이러한 뜻을 분명히 전해 일본이 우리 할머니들이 살아계신 동안 한을 조금이라도 풀어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이원욱 의원은 경기 동탄센트럴파크에서 열린 '화성시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 참석했다. 이날 이원욱 의원은 "이번 제막식을 바라보며 역사에 대해 생각한다"며 "어떤 역사를 쓰고 있는가, 쓰지 않고 있는가 하는 것을 보면 그 사회의 단면과 성격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일본 아베 정권은 1993년 일본의 종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를 부정하고 있다"며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제대로 쓰고 있는지를 묻고, 반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사진 = 청와대]



이와 함께 아베 정권 출범 이후 일본 현직 관료 및 중·참의원들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횟수가 급증한 것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 외교부 자료를 보면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한 의원 수는 2010년 166명, 2011년 178명, 2012년 206명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2012년 12월 아베 정권 출범 다음 해인 2013년 한 해만 427명으로 급증했다. 2014년 상반기에도 147명의 의원이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현직 총리와 각료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도 빈번해지고 있다. 아베 정권 출범 이전인 2012년에는 현직 각료가 신사를 참배한 횟수가 4회(3명)에 불과했지만, 아베 정권 출범 이후 2014년 상반기까지 아베를 비롯해 현직 총리와 각료들이 13회(5명)에 걸쳐 신사를 참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최재천 의원은 "국제사회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본 의원이나 각료들이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강행하는 것은 과거 군국주의적 침략전쟁을 부정하려는 역사적 수정주의의 발로"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