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폭력으로부터 자녀를 지켜라>"여름방학, 사이버 왕따 탈출하자”

2014-08-03 14:26
"여름방학, 사이버 왕따 탈출하자”

아주경제 장윤정 기자 = 방학이 시작됐다. 학교를 가지 않는 시간 동안, 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자녀들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PC, 스마트폰 등 관련 기기의 보급으로 학생들의 커뮤니케이션 통로는 늘어났지만 무분별한 악성 댓글, 비방, 사이버 괴롭힘 등 소위 ‘사이버 왕따’는 늘어나는 추세다.
우리 자녀가 혹시 사이버 왕따는 아닐까?
여름방학을 맞아 우리 자녀들을 사이버폭력, 무분별한 악성댓글, 욕설 등부터 지키고 올바른 인터넷 윤리의식을 함양시킬 방안에 대해 본지가 3회에 걸쳐 대안을 모색한다.

<사이버폭력으로부터 자녀를 지켜라-상> "여름방학, 사이버 왕따 탈출하자”(이번호)
<사이버폭력으로부터 자녀를 지켜라-중> “스마트폰 '사이버폭력' 관심 가지면 사라진다”
<사이버폭력으로부터 자녀를 지켜라-하> “악성댓글에 멍드는 자녀를 구하라”

# 고등학교 1학년 이모양은 모바일 메신저 그룹채팅방에서 또래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했다. '못생겼다'거나 '보기 싫은 애가 왜 이리 시끄럽냐'는 식의 인신공격이 이어졌다. 이모양은 무분별한 욕설과 비하글을 접한 후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자신이 살던 아파트에서 투신, 자살했다.

# 중학생 박군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 친구 6명이 조를 나눠 PC방에서 온라인 게임 '서든어택'을 하기로 했다. 박군과 한 조가 된 친구는 게임을 하는 내내 박군에게 '너랑 같은 편이 돼서 짜증난다' '넌 도대체 잘하는 게 뭐냐'고 채팅 메시지를 보냈다. 이후 박군만 빼고 5명 전원이 게임에서 빠져 박군 혼자 게임을 해야 했다.

우리나라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이 같은 '사이버불링'(cyber bullying·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 따돌림과 괴롭힘)을 당해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사이버불링을 목격한 청소년의 절반 이상은 이런 괴롭힘을 보고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 10명 중 3명 ‘사이버 왕따’ 피해

최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전국 중·고생 4000명을 대상으로 '한국 청소년 사이버 폭력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의 27.7%가 "사이버불링을 당해봤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피해 유형은 '온라인상 개인정보 유출'(12.1%)이 가장 많았고 '온라인 게임을 통한 괴롭힘'(10.2%)이 뒤를 이었다. 남학생은 온라인 게임, 여학생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피해가 주를 이뤘다.

사이버불링 가해 경험이 있다고 밝힌 학생도 19.4%나 됐다. 주로 카카오톡 친구 신청을 거부하거나 대화방에서 누군가를 제외하는 경우(10.1%)가 많았다.

사이버불링을 목격했다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52.2%)은 "그냥 상황을 지켜봤다"고 답했다. 가해자에게 그만두라고 요구한 경우는 27.8%에 불과했다. 경찰에 신고하거나(2.2%) 교사에게 알리는 경우(3.0%)는 극히 드물었다.

또한 남학생은 ‘폭행·스토킹·금품갈취’ 같은 전형적인 학교폭력을 주로 겪는 반면 여학생은 ‘왕따·사이버괴롭힘’ 등 언어·심리적 고통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는 올 3월 24일∼4월 30일 전국 초등 4학년∼고교 3학년 학생 498만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 인터넷 윤리교육 통해 근본적 해결 '시급'

이 중 학교폭력을 경험한 6만2000명의 피해 유형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은 폭행·스토킹·금품갈취 피해가 각각 15.3%, 12.5%, 9.2%를 차지해 여학생(5.3%, 8.7%, 6.1%)보다 훨씬 높았다.

여학생은 ‘관계적 괴롭힘’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응답률이 22.6%로 남학생(13.6%)에 비해 많았고 모바일 메신저 폭언 등 사이버 괴롭힘(15.4%)도 남학생(5.6%)보다 3배 가량 높았다.

황성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문화진흥단장은 “한국인터넷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초, 중, 고생 30.3%가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특히 사이버 언어폭력 피해가 24.2%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사이버 공간은 익명성이 담보된 공간이고, 스마트폰의 보급 등이 사이버 폭력 증가 원인이 되고 있다”며 “초등학교부터 중, 고교에 이르기까지 무분별한 사이버 폭력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단장은 “사이버 폭력은 매체가 발달하면서 빠르게 진화해 매체 중심 대처방법은 한계가 있다. 가정과 학교 등 인성과 인터넷윤리 교육 등 범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