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매쓰 수학연구소, 방학 동안 주도적 학습법 조언

2014-07-21 09:39

[사진제공= 시매쓰]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방학 시간 활용에 대한 고민이 많다. 이에 시매쓰 수학연구소 조경희 소장은 "아이들이 원하는 계획을 스스로 세울수 있도록 의견을 나눠야 한다"며 "계획을 주도적으로 세워야 동기부여가 되고 자기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매쓰 수학연구소는 아이들이 효과적으로 수학공부를 하기 위한 몇 가지 조언을 내놓았다.

◆ 자기주도적인 수학 학습계획 세우기
수학 학습 과정에서 자기주도성은 필수다. 자신이 보충해야 할 부분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자신의 시간표에 어떤 학습을 넣어야 하는지 스스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계획을 세우는 단계는 부모의 관심이 필요한 부분이다. 아이가 어떤 부분을 잘하고 취약한지 알고 있어야 의견을 나눌 수 있다.

계획을 세웠다면 아이가 협의한 대로 해야하며 본이이 세운 계획을 완수하도록 해야한다. 주의할 점은 공부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면 안된다. 공부가 재미없다는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올바른 수학 학습 습관 들이기
수학 공부에서 올바른 학습 습관은 ‘손으로 직접 풀어보기’, ‘풀이 과정 기록하기’, ‘오답노트 만들고 활용하기’ 등이다. 초등 저학년은 암기로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 자신의 실력이 상위권이라 착각한다. 하지만 고학년을 대비해 자신의 손으로 풀어보는 습관을 미리 들여야 한다.

자기주도적으로 수학 문제를 풀려면 학생 스스로 그 문제에 내재된 수학 지식, 해결 방법을 궁금해하고 찾아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입된 지식과 해결 방법으로 일시적 성과를 거둘 수 있어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주어진 문제를 분석하여, 그 문제에 담긴 개념과 원리, 방법을 찾아내도록 하는 사고 훈련을 해야 한다. 부모는 아이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때 미리 방법을 제시하지 말고 ‘이 문제는 어떤 수학 개념과 원리를 담고 있는가’, ‘그 개념과 원리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가’, ‘이를 풀어가려면 어떤 방법이 필요한가’ 등 사고를 유도해주는 방향으로 도와줘야 한다.

◆초등 학년별 여름방학 수학 학습 포인트
초등 1, 2학년은 연산 능력을 점검해 보아야 한다. 연산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라면 여름방학을 이용해 반드시 보충해야 한다. 교과서의 구성도 1학기 연산 영역을 알아야 2학기 연산 영역을 학습할 때 힘들어하지 않는다.

초3은 연산 영역과 도형 영역을 모두 점검해 보아야 한다. 3학년은 연산이 갑자기 어려워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연산 영역이 부족하면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잃을 수 있으므로 이 시기에 다시 반복하며 실력을 쌓아야 한다. 도형 영역에서는 도형의 기초 개념이 나오므로 교구나 생활 속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도형을 이용해 관심과 호기심을 느끼게 해 주면 도움이 된다. 3학년 때 도형의 기초 개념을 확실히 다져놔야 고학년이 되어서도 어려운 도형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

4학년 이상의 고학년은 연산 영역과 도형 영역은 물론 문제해결력까지 점검해야 한다. 이때부터 수학의 학습 능력의 차이가 더욱 커지므로 선행보다 배웠던 내용을 돌아보며 학습한 개념을 확실히 다져놔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