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식 살인교사 사건 검찰 수사 본격화

2014-07-06 13:01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경찰이 지난 3일 김형식(44·구속) 서울시의회 의원의 재력가 살인교사 의혹 사건에 대해 살인 교사 혐의로 송치하면서 검찰 수사가 본격화한다.

김 의원이 범행을 부인하는 가운데 검찰은 혐의를 입증할만한 추가 물증을 확보하는 데 나선다.

경찰은 김 의원의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팽모(44·구속)씨의 진술에 의존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김 의원은 2012년 팽씨에게 "송씨에게 빌린 5억여원을 빨리 갚지 않으면 지방선거에 못 나가게 하겠다고 하니 죽여달라"고 요청하면서 빌려준 7000만원을 없던 것으로 해주겠다고 했다고 팽씨는 진술했다.

팽씨는 김 의원이 흔적을 안 남기고 범행하도록 행동지침과 범행도구로 쓰인 손도끼와 전기충격기를 구해줬고 대포폰을 이용해 연락을 주고받으면서 수차례에 걸쳐 돈을 받았다고 했다.

경찰은 주변의 진술과 김 의원이 송씨에게 써준 차용증과 같은 간접증거들을 바탕으로 김 의원에 살해 동기가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김 의원이 송씨로부터 쇼유 빌딩 등에 대한 용도변경 청탁과 함께 금품을 받았다가 성사시키지 못하자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를 폭로하겠다는 압박을 받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피해자인 송씨 소유 빌딩이 있는 일반주거지역을 상업지구로 용도 변경하는 계획안을 강서구청은 지난해 9월 상정했으나 무산됐다.

경찰은 김 의원이 유치장에서 팽씨에게 '증거는 진술뿐' '묵비권을 행사하라'는 쪽지를 건넨 것이 사실상 범행을 시인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검찰은 결정적인 증거를 찾는 데 수사를 집중할 전망이다.

김 의원과 팽씨가 범행에 사용한 대포폰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는 결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지만 김 의원이 팽씨가 중국에 도주한 뒤 대포폰을 버렸고 문자메시지는 삭제돼 복원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경찰은 팽씨가 송씨를 살해할 때 사용한 손도끼도 찾지 못했다.

김 의원이 송씨로부터 5억원을 빌렸다는 차용증은 발견했지만 살인교사의 직접 증거로는 불충분해 김 의원과 송씨, 팽씨 사이의 자금 흐름을 우선적으로 밝혀내야 한다.

팽씨 진술의 유지와 함께 김 의원의 진술을 끌어내는 증거를 확보하는 데도 나설 전망이다.

송씨 가족으로부터 금전장부를 제출받은 데 따라 뇌물수수 혐의를 밝혀내는 데도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장부에는 김 의원 이름이 20차례 언급됐고 송씨가 김 의원에 건넨 금액이 5억90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