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문창극 마이웨이에 ‘사면초가’…새누리 출구전략 고심

2014-06-19 15:39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식민사관 발언으로 자진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마이웨이’를 선언하며 버티기에 돌입한 데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급락하면서 정부여당이 사실상 사면초가에 몰리게 됐다.

특히 19일 문 후보자가 박 대통령의 임명동의안 재가 검토 의사에도 불구하고 사퇴 의사가 없다는 뜻을 재차 밝히자 청와대도 새누리당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문 후보자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집무실로 출근하면서 사퇴설과 관련해 “밤사이에 입장의 변화가 없다”며 “어제 말한 것처럼 오늘 하루도 제 일을 열심히 준비할 것”이라고 일축했다.

정부여당이 박근혜 정부 2기 내각 출범을 가로막는 ‘가시’ 하나를 빼내지 못함에 따라 거수기 논란이 불거질 전망이다. 수직적 리더십의 대명사로 불린 박 대통령의 입만 바라보는 허수아비 내각 및 정당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갈등의 조정자 기능을 상실한 사이 박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하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가 17~18일 이틀간 전국 성인 1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결과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41.4%로 집계됐다. 6월 둘째 주 48.7%에서 7.3%p 하락하면서 40%대 붕괴를 눈앞에 두게 됐다.

문제는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출구전략을 마련하지 못하면서 교착국면이 지속되고 있다는 데 있다.

앞서 청와대 측은 세 차례나 문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국회 제출을 연기했다. 박 대통령의 귀국 후 재가 검토 의사도 전달했다. ‘문창극 카드’를 고수하기 어렵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전한 셈이다.

청와대 내부에선 문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가 실시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오는 22일을 사퇴 마지노선으로 정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이와 맞물려 새누리당은 친박(친박근혜)계 좌장인 서청원 의원이 직접 나서서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또한 문창극 사태로 7·30 재·보선 위기론이 급물살을 타자 ‘김기춘 책임론’도 불거졌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문창극 사태가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파문에 버금가는 사건임에도 매듭 하나 풀지 못했다. 

정부여당이 출구전략 마련에 실패할 경우 박 대통령이 직접 문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할 수밖에 없다. 출범 초기부터 불거진 부실 검증 등 청와대 인사시스템은 물론 박 대통령의 최대 아킬레스건인 ‘인의 장막’ 논란이 정치권의 뜨거운 쟁점이 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더라도 ‘문창극 사태’로 꼬인 정국의 반전을 꾀할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청와대가 문 후보자의 사퇴에 대해 결단을 하지 않아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이라며 “향후 국정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