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재난의료 지원예산 208억원... 전년대비 9.5배 증액

2014-06-10 10:58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내년부터 정부가 세월호 침몰과 같은 대형 재난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재난의료 예산을 9.5배로 대폭 늘린다 .

보건복지부는 중앙응급의료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15년 응급의료기금 운용계획안과 2014년도 응급의료기금 운용계획변경안을 심의, 의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올해 22억원에 불과한 국내외 재난의료지원 예산을 내년에는 9.5배인 208억원까지 증액하고 재난거점병원도 현재 20개에서 35개로 늘릴 계획이다.

재난거점병원은 재난 상황에서 많은 환자를 수용하고 신속하게 치료하기 위해 예비병상·전문인력·지원물품 등을 갖춘 의료기관을 말한다.

현재 전국 20곳의 권역응급의료센터가 재난거점병원 역할을 맡고 있다. 복지부는 앞으로 어디에서나 환자가 1시간안에 도착할 수 있게끔 35개 권역으로 권역을 세분화할 방침이다.

지정된 재난거점병원에는 산소공급장치·흡입기 등이 설치된 예비병상, 독극물에 노출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제염·제독 시설 등이 설치된다.

재난시 응급의료에 참여할 인력도 대폭 확충한다.

각 재난거점병원에 응급의학 전문의로서 해당 권역의 재난 의료를 총괄할 '책임자'를 지정하고, 현재 전국에서 65개가 운용되는 재난의료지원팀(DMAT)도 105개 이상 늘릴 방침이다.

DMAT는 재난 현장에 출동, 응급의료소 또는 재난병원에서 의료 지원을 수행하는 조직이며 의사·간호사 등 8명 안팎으로 구성된다.

재난·사고 발생 초기 상황을 최대한 빨리 파악하고 의료진을 급파할 수 있도록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는 '24시간 재난·응급의료상황실'도 만든다.

새로 설치된 상황실에는 의사·간호사 등이 배치돼 재난 상황에서 병상 확보, 환자 분산 배치, 현장 의료진 출동 등을 지휘한다. 평상시에는 병상·구급차·헬기 등 응급의료자원을 관리하고 의료기관간 응급환자 이송 등을 조율한다.

이밖에 심폐소생술 교육지원과 취약지역 응급실 지원, 중증외상전문진료체계, 닥터헬기 운영지원 등 응급의료 안전망 강화를 위한 투자 확대방안도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