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지방선거와 투표권 행사
2014-06-04 20:24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6.4 지방선거가 끝났다. 이번 선거는 두가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첫번째, 이번 선거로 17개 광역시도와 226개 시·군·구에서 각급단체장과 교육감, 광역 및 기초의회의원 등 모두 4000여명에 가까운 지역일꾼들을 새로 뽑았다는 점이다.
지방선거는 나와 내 가족이 살고있는 지역의 살림을 책임질 일꾼들을 뽑는다는 점에서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본이다.
앞서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치러진 사전투표를 통해 11.5%의 유권자들이 마음속에 정해둔 표를 던졌다.
지역일꾼들이 이끌어갈 살림살이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투표권을 행사한 국민들의 몫이다.
두번째로 이번 선거는 지난 18대 대선 이후 1년 반만의 첫 전국 단위 선거였다.
지역 일꾼을 뽑는 것과 별도로 전국적 이슈가 중앙정치무대의 틀 속에 녹아서 함께 굴러갔다.
여야가 당력을 쏟아부어 총력전을 벌인 이유도 이번 선거에 걸린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를 의식했기 때문이다.
결국 선거 막판에 박근혜 정부 심판론과 지원론으로 이슈가 모아졌다.
상대적으로 지역현안, 지역살림에 적합한 일꾼들에 대한 논의는 소외됐다.
또한 세월호 정국으로 확성기와 마이크를 이용한 소음 선거운동은 자제됐지만 선거때마다 나타나는 구태는 여전했다.
관심의 초점인 서울시장 선거전에서는 박원순 후보와 정몽준 후보간 살벌한 비방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서울시 교육감선거 등에서도 의혹 제기 공방이 되풀이 됐다.
고소고발전과 색깔론 공방, 가족들까지 가세한 진흙탕 싸움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런 총체적 난국의 정치판을 관통해 민의를 전달 할 수 있는 것은 결국 투표뿐이다.
투표는 국민 개인의 정치적 의사를 밝히는 권리인 동시에 구태 정치에 대한 엄중한 민심이기도 하다.
내 한표는 작지만 그 작은 한표들이 모여 누란의 위기에 처한 국가의 기본을 바로 세울수 있다. 선거후 지역 일꾼들의 분발을 기대해 본다.
첫번째, 이번 선거로 17개 광역시도와 226개 시·군·구에서 각급단체장과 교육감, 광역 및 기초의회의원 등 모두 4000여명에 가까운 지역일꾼들을 새로 뽑았다는 점이다.
지방선거는 나와 내 가족이 살고있는 지역의 살림을 책임질 일꾼들을 뽑는다는 점에서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본이다.
앞서 지난달 30일부터 이틀간 치러진 사전투표를 통해 11.5%의 유권자들이 마음속에 정해둔 표를 던졌다.
지역일꾼들이 이끌어갈 살림살이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투표권을 행사한 국민들의 몫이다.
두번째로 이번 선거는 지난 18대 대선 이후 1년 반만의 첫 전국 단위 선거였다.
지역 일꾼을 뽑는 것과 별도로 전국적 이슈가 중앙정치무대의 틀 속에 녹아서 함께 굴러갔다.
여야가 당력을 쏟아부어 총력전을 벌인 이유도 이번 선거에 걸린 박근혜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를 의식했기 때문이다.
결국 선거 막판에 박근혜 정부 심판론과 지원론으로 이슈가 모아졌다.
상대적으로 지역현안, 지역살림에 적합한 일꾼들에 대한 논의는 소외됐다.
또한 세월호 정국으로 확성기와 마이크를 이용한 소음 선거운동은 자제됐지만 선거때마다 나타나는 구태는 여전했다.
관심의 초점인 서울시장 선거전에서는 박원순 후보와 정몽준 후보간 살벌한 비방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서울시 교육감선거 등에서도 의혹 제기 공방이 되풀이 됐다.
고소고발전과 색깔론 공방, 가족들까지 가세한 진흙탕 싸움도 달라지지 않았다.
이런 총체적 난국의 정치판을 관통해 민의를 전달 할 수 있는 것은 결국 투표뿐이다.
투표는 국민 개인의 정치적 의사를 밝히는 권리인 동시에 구태 정치에 대한 엄중한 민심이기도 하다.
내 한표는 작지만 그 작은 한표들이 모여 누란의 위기에 처한 국가의 기본을 바로 세울수 있다. 선거후 지역 일꾼들의 분발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