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화성서 백제시대 금동관묘,금동신발등 출토

2014-05-26 14:45
(재)한국문화유산연구원 27일 발굴현장 공개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경기도 화성 향남2지구 동서간선도로(H지점)문화재 발굴조사지에서 백제시대 금동관묘, 금동신발등이 출토됐다.

(재)한국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상국)는 26일 "이 지역에서 현재까지 조사 결과 분구묘 1기와 목곽묘(木槨墓, 덧널무덤) 1기 등이 확인됐다며 "내부조사가 진행 중인 목곽묘를 중심으로 27일 오후 1시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날 문화재 발굴조사의 긴급 학술자문회의와 현장설명회도 가질 예정이다.

현재 목곽묘에서는 ▲ 금동관모(金銅冠帽, 금동으로 만든 모자) ▲ 금동식리(金銅飾履, 금동으로 만든 신발) ▲ 금제이식(金製耳飾, 금으로 만든 귀고리) ▲ 환두대도(環頭大刀, 둥근 고리가 있는 고리자루칼) 등의 장신구가 출토되었다.

  또 ▲ 등자(鐙子, 말을 탈 때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만든 안장에 달린 발 받침대) ▲ 재갈을 비롯한 마구류(馬具類) ▲ 성시구(盛矢具, 화살을 휴대하기 위해 담는 통) 등 다양한 유물이 부장되었다. 특히, 내부에서 꺾쇠와 관못이 정연하게 확인되어 목곽 내부에 안치했던 목관(木棺)의 결구(結構)와 제작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학술자료들을 확보했다는 기대다.

 출토된 금동관모의 외면에는 삼엽초화문(三葉草花文)이 투조(透彫, 면을 도려내어 일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조각법)되어 있으며, 대륜부(帶輪部, 일정한 폭을 가진 띠 모양)의 내면에는 백화수피(白樺樹皮, 자작나무 껍질)제 내관(內冠)이 들어있어 현재 긴급 보존처리 중이다.

 이러한 금동관모의 양상은 공주 수촌리 1호 토광묘, 고흥 길두리 안동고분, 합천 옥전 23호분 출토품과 유사하여 금동관모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에 해당한다는게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이처럼 목곽묘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금동식리, 환두대도 등의 유물은 4〜5세기 경기도 화성 지역이 백제의 지방 주요 거점지역이었음을 알려주는 최고의 위세품(威勢品)에 해당하는 것으로, 경기 지역에서 최초로 출토되었다는 점에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현재 내부조사 예정인 분구묘의 경우, 경기 지역에서는 김포 지역(김포 운양동과 양곡․양촌 유적)에 이어 두 번째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내부조사가 완료될 경우 분구묘의 축조과정, 확산과정 등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학술적 자료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한국문화유산연구원은 이번 조사지역이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요리 주변은 길성리토성을 비롯하여 소근산성 등의 관방유적(關防遺蹟)과 마하리․당하리 고분군, 발안리 마을유적, 기안리 제철유적 등 삼국 시대 대규모 유적군이 발굴된 바 있어, 지정학적 중요성을 내포하고 있었음이 다시 확인됐다고 밝혔다.

 특히 1930년대 일괄출토품으로 신고되어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대금구(帶金具, 허리띠 장식품), 환두대도, 각종 마구류 등이 출토된 ‘화성 사창리 산 10-1번지 유적’은 이번 조사지역과 불과 100m 거리 내에 있어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있다.

(재)한국문화유산연구원은 목곽묘에 대한 마무리조사와 분구묘에 대한 내부조사를 통해 4~5세기 백제의 중앙과 지방 세력 간 정치적 관계를 구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화성 향남2지구 동서간선도로(H지점) 문화유적 발굴조사조사단 
. 자 문 위 원 : 지 건 길 (前 국립중앙박물관장)
최 병 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이 남 석 (공주대학교 교수)
권 오 영 (한신대학교 교수)
이 한 상 (대전대학교 교수)
. 조 사 단 장 : 박 상 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장)
. 책임조사원 : 현 남 주 (한국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실장)
. 조 사 원 : 이 상 국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조사연구부장)
김 호 진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선임연구원)
최 세 열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선임연구원)
이 동 훈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 준 조 사 원 : 김 민 웅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신 배 영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김 성 수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박 성 권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 보 조 원 : 김 나 윤 (한국문화유산연구원 보조원)
안 현 진 (한국문화유산연구원 보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