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준 포스코 회장, “車강판 전략 어떻게?” 현대차향 매출 비중 2.1% 급락(종합)

2014-05-18 13:20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현대제철 효과’가 국내 자동차 강판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올 1분기 포스코 전체 매출에서 현대·기아차가 차지한 비중이 2.1%까지 급락했다. 이는 포스코가 주요 고객사 매출 비중을 발표한 2009년 이후 최저치다. 당진 일관제철소 완공, 현대하이스코 냉연사업을 인수한 현대제철이 차 강판 대량생산 체제에 돌입하면서 포스코의 몫을 빠르게 흡수하고 있는 것이다. 포스코의 매출 감소는 어느 정도 예상했지만 이 정도로 빠를 것이라고 보진 않았다. 신차가 개발되면서 현대제철의 매출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여, 포스코로서는 차 강판 판매 전략의 재검토가 시급해 보인다.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1분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포스코는 전체 매출에서 현대·기아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2.1%를 기록했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 말까지 현대중공업그룹과 함께 포스코의 가장 큰 고객사중 하나였는데, 올 1분기에는 현대중공업(3.7%)은 물론, 포스코P&S(2.5%)에 밀려 3위로 내려앉았다. 특히 매출 비중이 2.1%까지 급락했다는 것은 더욱 위험스런 대목이다. 개별 기준 회사 매출액을 통해 금액을 단순 산출해보면 올 1분기 현대·기아차향 매출액은 약 1525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약 2305억원과 비교해 무려 800억원이나 줄어든 것이다. 현대하이스코향 매출 감소분까지 더한다면 최소 1300억원 가량이나 줄었다. 특히 지난해 1분기까지 분기 기준 2000억원대를 유지해오다가 이번 분기에 큰 폭 하락했다.

반면, 현대제철은 매출 비중 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고객사 명단에 (주)삼우가 올랐다. 삼우는 지난해까지 현대하이스코의 스틸서비스센터(SSC) 중 하나로 현대하이스코로부터 냉연제품을 공급받아 이를 재가공해 현대차가 원하는 규격의 부품으로 만들어 납품해왔다. 현대하이스코의 냉연사업 부문이 현대제철로 이관되면서 삼우의 거래처는 현대제철로 바뀐 것인데, 이는 사실상 현대·기아차로의 매출액이라고 보면 된다. 1분기 삼우로의 매출 비중은 5.1%였다. 금액으로는 약 2007억원에 달한다. 이는 현대제철이 직접 생산해 포스코 물량을 상당부분 대체한 물량과 함께 현대하이스코로부터 넘겨받은 냉연부문의 매출액을 합친 것이다.

이로써 현대제철은 포스코를 누르고 현대·기아차의 최대 차 강판 공급업체로 부상했다. 신차가 출시될 때마다 현대제철의 매출 비중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제네시스와 쏘나타는 초고장력 강판 적용 비율이 50% 이상인데, 이 비중의 상당량은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가 개발해 포스코와 일본 철강사 제품을 대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현대·기아차가 신차를 내놓을 때마다 현대제철 강판 적용 비중은 더욱 증가해 포스코로서는 매출 비중 2%선을 유지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포스코가 차 강판 사업을 키울 수 있었던 배경은 내수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현대차와의 협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도요타와 GM 등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이 원하는 강판을 개발·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 포스코로서는 차 강판 사업 전략을 다시 짜야 한다. 19일 ‘혁신포스코1.0’ 전략을 제시할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어떤 방안을 내놓을지 관심이다. 권 회장은 핵심 매출 확대 분야로 자동차를 지목했는데, 현대차와의 관계가 희석됐다는 것은 그에게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본 철강업체들도 아시아 지역 진출을 통해 현지 차 강판 시장을 선점한 포스코를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에서의 현대차향 매출 비중 감소까지 더해 포스코로서는 매출선 다변화를 적극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